<목록정보>
국명: 골병꽃나무
영문명: Garden weigela
과국명: 인동과
과명: Caprifoliaceae
속국명: 병꽃나무속
속명: Weigela
비추천명: 골병꽃
정명학명: Weigela hortensis (Siebold & Zucc.) K.Koch
이명학명: Diervilla hortensis Siebold & Zucc.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 일본; 식재
노트
Lee (1980)와 Lee (1996)는 골병꽃나무(W. hortensis)가 남쪽 지방과 중부 이남에 생육하는 것으로 기재하였고, Kim (2007)와 Chang et al. (2014)은 골병꽃나무를 기재하지 않았다. 이는 학자에 따라 자생하는 것으로 보는 경우와 자생하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골병꽃나무의 자생여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원산지
한국
형태
낙엽활엽관목으로 3 m까지 자라고 식재한다. 줄기는 오래된 껍질은 회갈색이며, 작은 점 같은피목들이 산재한다. 2년지는 자주색이고, 매끄럽고 때로는 껍질이 벗겨지는 경우도 있으며, 점 같은 피목이 있고, 털이 남아있거나 없다. 1년생 가지는 2년지의 끝이나 엽액에서 나오고, 연두색 또는 자주색이 섞인 연두색이며, 털이 있고, 마디에서 면모가 밀생한다. 잎은 십자대생하고, 엽병은 길이 1.8~7.6 mm이고, 마디에서 이어지는 털이 밀생한다. 엽신은 타원형, 장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3.3~11.9 × 1.9~6.0 cm이다. 엽선은 예첨두, 첨두 또는 점첨두이고, 거치는 짧은 치아상이며, 엽저는 예저이다. 상면의 주맥에는 털이 거의 없고, 하면은 도드라진 주맥과 측맥 위에 흰색의 면모가 잎 중심쪽으로 집중되어 밀생한다. 상면은 녹색이고, 하면은 백록색이며, 상하면 모두 표면은 털이 드물게 있다. 꽃은 5월에 1년생 가지의 끝과 엽액에 2~3개 달리고, 양성이며, 개방화이고, 충매화이다. 화병은 길이 4.2~20.7mm이고, 화관은 깔때기모양으로 갑자기 넓어지고 분홍색 또는 자색이며, 흰색과 분홍색이 섞여있는 경우도 있다. 화통은 길이 1.5~2.3 cm, 지름 8.4~15.7 mm이고, 열편은 끝에서 5개로 얕게 갈라지며, 가장자리는 원두이다. 화통 외면에는 흰색의 굽은 털이 산재하고, 내면에는 어두운 황색의 유도선이 있다. 화사는 길이 1.1~1.9 cm, 직경 0.4~0.6 mm이고, 화사의 기부쪽은 화관 내면에 붙어있으며, 약은 2실이고, 정자착하며, 길이 4.8~6.5 mm, 직경 0.7~1.0 mm이고 황색이다. 화주는 길이 22.4~35.1 mm, 직경 0.5~0.7 mm이고, 주두와 함께 연한 황색이며, 주두는 머리모양이고, 얕게 갈라진다. 악은 5개로 중열~심열하고,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녹색, 자색 또는 자색을 띤 녹색이고, 외면에 한 줄의 뻗은 털이 있다. 자방은 하위이고, 2실이며, 짧은 자루가 있고, 면모가 있으며, 녹색이고, 광택이 없다. 자방의 기부에는 침형 소포가 달리고, 소포 외면에 흰색의 털이 산생한다. 열매는 원통형의 삭과이고, 길이는 0.9~1.9 cm, 지름 0.9~1.9 mm이며, 과병은 길이 0.5~1.0 mm이고, 9~10월에 흑자색 또는 흑색으로 성숙한다. 완전히 성숙하면 중축을 기준으로 2개로 갈라지고, 위쪽으로 종자가 밖으로 흩어진 후 봄까지 열매 껍질이 탈락하지 않고 남아있다. 종자는 길이 0.9~1.1 mm, 너비 0.4~0.6 mm이고, 원통형 마름모꼴이며, 황갈색이다. 3면에 좁은 날개가 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골잎원추리 (0) | 2022.11.30 |
---|---|
[식물도감] 골사초 (3) | 2022.11.30 |
[식물도감] 골무꽃 (1) | 2022.11.30 |
[식물도감] 골등골나물 (0)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