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골무꽃
영문명: Indian skullcap
과국명: 꿀풀과
과명: Lamiaceae
속국명: 골무꽃속
속명: Scutellaria
비추천명: 두꺼운골무꽃,떡잎골무꽃,수골무꽃,연지골무꽃,우단골무꽃,좀골무꽃,좀골무꽃,털골무꽃,흰골무꽃
정명학명: Scutellaria indica L.
이명학명: Scutellaria indica L. f. parvifolia Matsum. & Kudô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분포정보
한국,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월남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경남, 충남, 충북, 강원, 경기도 등 중부이남에서 자란다.
꽃설명
꽃은 자색으로 5~6월에 피며 한쪽으로 치우쳐서 2줄로 달리고 정생하는 총상꽃차례에 촘촘히 난다. 꽃받침조각은 순형이고 길이 3mm에서 6-7mm로 자라며 위쪽에 원반모양의 부속체가 있고 겉에 털이 있으며 포는 柄(병)이 있으며 달걀모양이다. 꽃부리는 밑부분이 꼬부라져서 곧게 서며 길이 18-22mm이고 긴 통상 순형으로 상순은 고깔모양꽃부리, 하순은 넓으며 앞으로 나오고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4개로서 그 중 2개가 길다.
열매설명
4개의 분과로서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흑색이고 길이 약 1mm로서 돌기가 밀생한다.
생육환경설명
산이나 들에 난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며 심장형 또는 원형이고 둔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 1-2.5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5-20mm이다.
원산지
한국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유사식물설명
▶좀골무꽃 (var.parvifolia MAK.): 높이 5-20cm로서 잎의 길이와 나비가 각 1cm정도이다.
▶떡잎골무꽃 (var.tsusiminsis OHWI) : 높이 10-30cm이고 잎이 길이 2-4cm로서 표면의 맥이 들어간다.
특징
전초를 한신초(韓信草)라 하며, 이명(異名)은 대력초(大力草), 이공초(耳控草)이다.
줄기설명
높이 20-40cm이고 긴 퍼진 털이 많으며 원줄기는 둔한 사각형이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선다.
크기설명
높이 20-40cm이다.
사용법
▶골무꽃/들깨잎골무꽃/산골무꽃의 全草(전초)를 韓信草(한신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성분 : 전초는 scutellarein 등의 flavonoid, phenol性(성) 성분, amino acids, 有機酸(유기산)을 함유한다.
②약효 : 祛風(거풍), 活血(활혈), 해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타박상, 吐血(토혈), 咳血(해혈), (옹종정독-정창으로 重症(중증)인 것), 候風(후풍-急性 咽喉疾患(급성 인후질환)), 齒痛(치통)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0g(짓찧어 낸 즙인 경우는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골사초 (3) | 2022.11.30 |
---|---|
[식물도감] 골병꽃나무 (1) | 2022.11.30 |
[식물도감] 골등골나물 (0) | 2022.11.30 |
[식물도감] 골담초 (0)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