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강아지풀

MinorMan 2022. 11. 10. 23:46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강아지풀

영문명: Bristlegrass

과국명: 벼과

과명: Poaceae

속국명: 강아지풀속

속명: Setaria

비추천명: 개꼬리풀,자주강아지풀,제주개피

정명학명: Setaria viridis (L.) P.Beauv.

이명학명: Setaria gigantea (Franch. & Sav.) Makino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


꽃설명

제1포영은 소수 길이의 1/3~2/5, 3맥, 기부는 소수 기부를 감싼다. 제2포영은 소수 길이와 같고 5맥이 있다. 제1소화는 퇴화되어 불임, 제2소화는 양성으로 임성이다. 제1소화 호영은 소수와 같은 크기이고 5~7맥이 있다. 제2소화 호영은 소수와 같은 길이이고 혁질로 광택이 있고 가장자리는 내영을 감싼다. 제2소화 내영은 안쪽으로 말리고 경질이다.


열매설명

영과


생육환경설명

전국 저지대의 양지쪽에 자란다.


잎 엽신

엽신은 길이 5~20cm, 너비 5~15mm, 양면에 털이 없다.


잎 엽초

엽초는 기부까지 갈라지며 가장자리에는 짧은 털이 줄지어 난다. 엽설은 막질부가 없이 털이 줄지어 난다. 응축원추화서이다. 화서는 원주형, 길이 3~6cm, 직립하며 화서의 중축에 백색의 긴 털이 밀생한다. 소수는 길이 1.8~2.3mm, 기부에 3~7개의 자모가 있고 자모는 소수 길이의 3~4배이다.


해외분포

세계의 온대, 난대


생육형

한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갯강아지풀 (var.pachystachys Mak.et Nemoto) : 일년생가지의 센털이 길며 밀생하여 소수가 뚜렷하지 않고 바닷가에서 자란다.

▶수강아지풀 (var.gigantea Matsumura) : 조와 강아지 풀의 잡종이다.


특징

가을강아지풀(S. faberi)에 비해 소수는 길이 1.8~2.3mm, 제2포영은 제2소화(임성)와 같은 길이이다. 화서는 직립 한다.


줄기설명

줄기는 아래쪽에서 갈라져 직립하며 높이 20~80cm, 5~8개의 마디가 있다.


크기설명

높이 30~120cm이다.


사용법

▶사료용으로 이용한다.

▶全草(전초)를 狗尾草(구미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 가을, 겨울에 채취해서 햇볕에 말려 썰어서 사용한다.

②약효 : 해열, 祛風(거풍),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癰腫(옹종), 瘡癬(창선), 赤眼(적안), 廂目(우목)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2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강활  (2) 2022.11.10
[식물도감] 강화황기  (0) 2022.11.10
[식물도감] 강낭콩  (1) 2022.11.10
[식물도감] 강계큰물통이  (0) 2022.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