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조릿대풀

MinorMan 2023. 3. 10. 15:24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조릿대풀

영문명: Common lophatherum

과국명: 벼과

과명: Poaceae

속국명: 조릿대풀속

속명: Lophatherum

비추천명: 그늘새,애기그늘새,조리대풀

정명학명: Lophatherum gracile Brongn.

이명학명: Lophatherum elatum Zoll. & Moritzi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


꽃 화서

화서는 3~6마디에 총(raceme)이 1~3개가 달려 전체모양이 원추형을 이룬다. 화서에는 소수가 성기게 배열된다.


꽃 소수(특징)

소수는 피침형~좁은피침형으로 자루가 거의 없고 길이 8~11mm, 최하의 1개의 소화만 임성이며 위쪽의 4~6개의 소화는 불임성으로 호영만 남아 소축의 끝에 모여 있다.


꽃 소수 포영

포영은 5맥으로 제1포영은 길이 3mm, 제2포영은 길이 5mm이다.


꽃 소수 소화 호영

임성소화의 호영은 길이 6mm내외, 5~7맥, 끝에 짧은 돌기가 있으며 불임성소화의 호영은 끝에 굵은 까락이 있고 까락에는 하향의 자모가 있다.


꽃 소수 소화 내용

임성소화의 내영은 호영과 거의 같은 길이로 위쪽 1/3부위가 폭이 넓다.


열매설명

영과


생육환경설명

숲 속에 자란다.


잎 엽신

엽신은 길이 10~30cm, 너비 2~5cm, 기부는 원저이며 엽초와의 사이에 길이 3~10mm의 자루가 달린다.


잎 엽신 길이

10~30cm


잎 엽신 너비

2~5cm


잎 엽초

엽초는 등 쪽이 둥글고 절간보다 길며 털이 없거나 성기게 털이 있다.


잎 옆설(특징)

엽설은 길이가 낮아서 눈에 잘 띠지 않는다.


원산지

한국


해외분포

일본,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생육상 구분

다년생


특징

털조릿대풀(L. sinense)에 비해 소수는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대개 원통형이며, 제1소화의 호영은 장타원형이고, 측면에서 볼 때 등 쪽으로 부풀지 않는다. 화서 가지에 소수는 간격이 떨어져서 붙는다.


줄기설명

줄기는 다수가 총생하며 높이 40~80cm, 4~6마디가 있다.


줄기 높이

40~80cm


크기설명

높이는 40-80㎝.


사용법

▶全草(전초)를 淡竹葉(담죽엽), 根莖(근경) 및 덩이뿌리는 碎骨子(쇄골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淡竹葉(담죽엽)

①조릿대풀의 전초를 5-6월 개화하기 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썰어서 사용한다.

②성분 : 줄기 및 잎에는 arundoin, cylindrin, taraxerol이나 friedelin과 같은 triterpenoids가 함유되어 있다. 다른 지상부분은 phenol성 성분, amino산, 유기물, 당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心火(청심화), 除煩熱(제번열), 이뇨의 효능이 있다. 열병에 의한 口渴(구갈), 心煩(심번), 小便赤澁(소변적삽), 淋濁(임탁), 구미, 舌瘡(설창), 치은종통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碎骨子(쇄골자)

①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뿌리, 줄기에는 arundoin, cylindr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이뇨, 滑胎(골태)의 효능이 있다. 腎炎(신염), 發熱心煩(발열심번), 口渴(구갈)을 치료한다. 墮胎(타태)하고 출산을 촉진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조뱅이  (0) 2023.03.10
[식물도감] 조밥나물  (0) 2023.03.10
[식물도감] 조릿대  (0) 2023.03.10
[식물도감] 조름나물  (0) 2023.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