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조름나물

MinorMan 2023. 3. 10. 15:20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조름나물

영문명: Buckbean

과국명: 조름나물과

과명: Menyanthaceae

속국명: 조름나물속

속명: Menyanthes

정명학명: Menyanthes trifoliata L.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분포정보

북반구의 온.한대 / 한국(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안북도; 강원도 양구군, 평창군; 경상북도 울진군)


꽃설명

꽃은 백색 혹은 더러 엷은 자색이고 7~8월에 피며 지름 1-1.5cm로서 화경은 길이 20-40cm로서 잎 사이에서 나오며 끝부분에 꽃이 총상꽃차례로서 정생한다. 포는 길이 3-8mm로서 넓은 달걀모양이며 꽃자루는 길이 1-2.5cm이다. 꽃받침은 짧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이고 꽃부리는 짧은 깔때기모양이며 5개로 중앙까지 갈라지며 열편 안쪽에 긴 털이 밀생한다. 5개의 수술은 화통에 붙어 있고 1개의 암술이 있으나 포기에 따라 긴 수술에 짧은 암술의 꽃과 긴 암술에 짧은 수술의 꽃이 있다.


열매설명

삭과는 지름 2-3.5mm로서 원형이며, 종자도 원형이다.


생육환경설명

연못, 늪이나 도랑에 난다.


잎설명

엽병이 길며 3출되고 소엽은 긴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사각상 타원형이고 엽병이없으며 둔두 에저이고 길이 4-8cm, 나비 2-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노트

대암산 용늪의 개체들은 꽃을 피우지 않고 영양번식만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산지

북반구에 널리 분포


보호방안

고산 습지에 자라며 자생지는 10곳 미만으로 개체수도 많지 않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뿌리설명

근경은 녹색이며 길게 옆으로 자라고 지름 7-10mm이며 끝에서 엽병이 긴 3출엽이 5-6개씩 나온다.


형태

다년생 수초.


크기설명

높이가 20-35cm정도로 자란다.


사용법

▶잎 또는 전초(全草)를 睡菜(수채), 근경(根莖)은 睡菜根(수채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睡菜(수채)

①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엽병이 붙은 잎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잎은 loganin(meliatin) 약 1%, 또 tannin, 脂肪油(지방유) 등을 함유한다. 또 alkaloid 0.035%를 함유하며 그 속에서 gentianine, gentianidine, gentialutine, gentiatibetine이 분리되었다. 전처는 rutin, hyperin, trifolioside, loganin, foliamenthin, dihydrofoliamenthin, menthiafolin, secologanin을 함유한다. 지상부분은 α-spinasterol, stigmasta-7-enol 등의 sterol을 함유한다. 꽃과 과실은 精油(정유)를 함유하며 주성분은 α-pinene, 1,8-cineole, cadinene, gurjunene, aromadendrene, isovaleric ester 등이다.

③약효 : 健脾(건비), 消食(소식), 養心(양심), 安神(안신)의 효능이 있다. 心膈邪熱(심격사열), 위염, 위통, 소화불량, 心悸(심계)와 불면증, 정신불안증을 치료한다.

⑵睡菜根(수채근)

①연중 채취한다.

②성분 : 근경은 betulinic acid를 함유하고 또 menthiafolin, foliamenthin, dihydrofoliamenthin을 함유한다.

③약효 : 潤肺(윤폐), 止咳(지해), 消腫(소종), 降血壓(강혈압)의 효능이 있다.

④용법/용량 : 10-15g(신선한 것이면 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조릿대풀  (0) 2023.03.10
[식물도감] 조릿대  (0) 2023.03.10
[식물도감] 조록싸리  (0) 2023.03.10
[식물도감] 조록나무  (0) 2023.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