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수선화
과국명: 수선화과
과명: Amaryllidaceae
속국명: 수선화속
속명: Narcissus
정명학명: Narcissus tazetta L. subsp. chinensis (M.Roem.) Masam. & Yanagita
이명학명: Narcissus tazetta L. var. suisen Siebold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를 맺지 못하며 비늘줄기로 번식한다. 습중린경(襲重鱗莖)의 분열로 생긴 자구(仔球)로 번식한다.
분포정보
제주도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꽃설명
꽃은 12-3월에 피며 판통은 길이 18-20mm, 꽃대는 높이 20-40cm이고 포는 막질이며 길이 5-6.5cm이고 꽃봉오리를 감싸며 화경 끝에 5-6개의 꽃이 옆을 향해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4-8cm이고 화피열편은 6개로서 둥글지만 끝이 뾰족하며 길이 14-15mm이고 백색이며 하부는 긴 통상이다. 덧꽃부리는 높이 4mm로서 황색이다. 수술은 6개가 덧꽃부리 밑에 붙어 있고 수술대는 길이 1mm이며 꽃밥은 길이 3mm로서 T자형으로 붙어 있다. 암술대는 덧꽃부리와 길이가 비슷하다. 씨방은 하위이며 녹색이고 3실이다.
열매설명
꽃핀 후 결실치 않으므로 종자의 모양은 불투명하다.
생육환경설명
습지에서 잘 자란다.
잎설명
잎은 늦가을에 자라기 시작하고 4-6개이며 길이 20-40㎝, 폭 8-15mm로서 긴 선형이고 끝이 둔하며 백록색을 띠고 두껍다.
원산지
지중해 연안에서 중국 남부가 원산지이다.
뿌리설명
겹쳐진 비늘줄기는 난상 구형이며 외피는 흑색이고 하부에 백색의 수염뿌리가 다수 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설명
검은 껍질에 싸인 달걀모양의 비늘줄기에서 잎이 난다. 끝에 막질의 불염포가 있다.
크기설명
꽃대는 높이가 20-40cm정도로 자란다.
사용법
▶화(花)는 水仙花(수선화),비늘줄기는 水仙根(수선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水仙花(수선화)
①성분 : 신선한 꽃에는 精油(정유) 0.2-0.45%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요성분은 eugenol, benzaldehyde, benzyl alcohol, cinnamic alcohol이다. 일본산의 수선화에는 정유 0.011%가 들어 있다. 꽃에는 또 rutin, isorhamnetin-3-rhamno glucoside(narcissin), carotenoid, citronell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祛風(거풍), 除熱(제열), 活血(활혈), 調經(조경)의 효능이 있다. 婦人(부인)의 자궁병,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2.4-4.5g을 달이거나 또는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⑵水仙根(수선근)
①봄, 가을에 뿌리를 캐어 苗莖(묘경),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泥土(이토)를 씻어내고, 뜨거운 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다. 縱切(종절)하여 細片(세편)을 만들어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消腫(소종), 排膿(배농)의 효능이 있다. 일체의 癰腫(옹종), 瘡毒(창독), 蟲咬(충교)를 치료한다.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수송나물 (0) | 2023.02.11 |
---|---|
[식물도감] 수세미오이 (0) | 2023.02.11 |
[식물도감] 수박풀 (0) | 2023.02.11 |
[식물도감] 수박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