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밀나물
영문명: Riparian greenbrier
과국명: 백합과
과명: Liliaceae
속국명: 청미래덩굴속
속명: Smilax
정명학명: Smilax riparia A.DC.
이명학명: Smilax maximowiczii Koidz.
<상세정보>
번식방법
▶실생 및 분주로 번식한다.
1.실생번식: 가을에 씨가 익으면 채종하여 물에 씻어서 과육을 제거한 후 직파하든가 땅에 묻었다가 봄에 파종한다. 씨는 한 번 건조하면 발아력이 상실되므로 재배가 어렵다고 여겼으나 습층저장으로 휴면을 타파시키면 발아율은 나쁜 편이 아니다.
2. 분주 : 가을이나 이른 봄에 싹트기 전에 포기를 캐내어 쪼개어 심으면 된다. 덩굴성 식물이므로 지주를 세워서 유인해줄 필요가 있다.
분포정보
전국 각처에 분포
재배특성
건조한 곳에서는 사그러져 없어져버린다. 토질은 보수력이 있고 토심이 깊으며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땅이 좋다. 경사진 곳보다 평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순을 따고 나면 다시 두번째 순이 나오므로 2~3회 수확할 수 있으나 여러번 수확하면 포기가 쇠약해져서 말라죽는 경우가 생기므로 3번째부터는 생장시켜서 다음해에 대비한다.
꽃설명
꽃은 5~7월에 피며 우산모양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화경은 엽병보다 훨씬 길며 길이 7~12mm의 꽃자루가 15~30개 정도 달린다. 수꽃의 화피는 뒤로 젖혀지고 피침형이며 길이 4mm 정도로서 황록색이고 수술은 화피 길이의 2/3-4/5이다. 꽃밥은 길이 1.5mm 정도이며 암꽃에 꽃밥이 없는 수술은 없다.
열매설명
꽃이 진 후 동그란 장과가 결실하여 검게 익는다.
생육환경설명
▶전국의 산기슭, 강기슭, 들판, 구릉지 등의 수림 사이의 밝은 덤불 속에 자생한다.
▶해가 잘 드는 곳이나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지만 습기가 있는 곳이 중요하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5cm, 폭 2.5~7cm로서 5~7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나 뒷면 맥위에 잔돌기가 있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 5~30mm로서 밑부분에 탁엽이 변한 덩굴손이 있다.
해외분포
일본, 중국
생육형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L.): 덩굴성 목본, 잎은 넓은 구형으로 광택이 지고, 열매는 적색으로 익는다.
▶청가시덩굴(S. sieboldii Miq.): 덩굴 목본으로 잎은 난형으로 열매는 흑색으로 익는다.
▶선밀나물(Smilax nipponica Miq.):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곧추선다.
▶잎이 좁은 것을 좁은잎밀나물 (for.stenophylla T.Koyama) 라고 한다.
특징
일명 `우미채`라고도 하며 봄에 돋아나는 순이 흡사 `그린아스파라가스`처럼 생겼으며 맛도 이와 비슷해서 산나물 아스파라가스라 해도 손색이 없다. 밀나물은 부드러우면서도 매끄럽고 씹히는 감촉이 좋으며 향기로워서 담백하고 세련된 고상한 맛이 산채에서는 전혀 느낄 수 없는 진미의 산나물이다.
줄기설명
줄기와 덩굴손으로 다른 식물에 의지하여 감겨붙어 자란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능선이 있다.
사용법
▶어린 순이나 연한 줄기와 꽃봉오리 등을 식용하는데 어린 순은 생으로 튀김요리도 하고 마요네즈나 초고추장에 찍어 먹어도 향미롭다. 국거리로도 이용되며, 조림, 소금물에 저림가공도 할 수 있다. 영양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노화를 방지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이뇨와 강장의 효과도 있다 한다.
▶根莖(근경) 및 根(근)을 牛尾菜(우미채)라 하며 약용한다.
①6-8월에 채취하여 깨끗하게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老龍鬚(노룡수-밀나물)는 補氣(보기), 活血(활혈), 通絡(통락)의 효능이 있다. 氣虛浮腫(기허부종), 筋骨疼痛(근골동통), 片痲痺(편마비), 頭暈頭痛(두훈두통), 咳嗽吐血(해수토혈), 骨結核(골결핵), 白帶(백대-惡露(악로))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2g을 달여 마시거나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肉(육)과 같이 약한 불에 고아서 먹는다.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밀짚꽃 (0) | 2023.01.14 |
---|---|
[식물도감] 밀사초 (0) | 2023.01.14 |
[식물도감] 밀 (0) | 2023.01.14 |
[식물도감] 민하늘지기 (0)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