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민박쥐나물

MinorMan 2023. 1. 13. 16:02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민박쥐나물

영문명: Oriental Indian plantain

과국명: 국화과

과명: Asteraceae

속국명: 박쥐나물속

속명: Parasenecio

비추천명: 박쥐나물,큰박쥐나물

정명학명: Parasenecio hastatus (L.) H.Koyama subsp. orientalis (Kitam.) H.Koyama

이명학명: Cacalia hastata L. var. orientalis (Kitam.) Ohwi


<상세정보>

번식방법

▶실생과 분주로 번식한다.

①실생번식: 가을에 씨가 익으면 채종하여 직파해도 되고 봄에 파종해도 된다.

②분주 : 봄에 싹트기 전에 포기를 캐내어 싹을 2~3개 붙여서 쪼개어 30cm 간격으로 심는다.


분포정보

▶일본, 중국 북부(만주), 사할린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재배특성

대개 표고 500m 이상의 임지(고냉지)의 수림 사이 평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개 4월말부터 깊은 산속에서는 7월까지도 채취가 가능하다.


꽃설명

꽃은 7~9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며 총포는 길이 10-12mm, 나비 5mm이고 포편은 5-8개이며 낱꽃은 6-9개이고 꽃부리는 길이 8-9mm이다.


열매설명

수과는 선형이며 길이 5~8mm, 지름 1.5mm로서 종선이 있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길이 7mm 정도로서 백색 또는 칙칙한 백색이다.


생육환경설명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반그늘지는 공중습도가 있는 곳이 좋다. 토질은 보수력이 있고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땅이 좋다. 배수가 잘 되는 것도 중요하므로 다소 경사진 구릉지대가 재배에 유리하다.


잎설명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어긋나기하며 세모진모양 또는 창모양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길이 25~35cm, 폭 30~40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양쪽 열편은 다시 갈라지기도 하고 엽병은 길이 9~13cm로서 보통 날개가 있다.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봄에 싹이 20cm쯤 자랄 때 낫으로 베어내면 밑쪽에서 다시 싹이 나온다. 두번째 싹은 그대로 자라게 해서 추대하기 전에 상순을 다시 수확한다. 그렇게 하면 모주도 보호할 수 있고 생산량도 증대시킬 수 있다.


뿌리설명

근경은 단단하며 짧고 넓게 뻗지 않는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기본종은 포편이 8개이고 낱꽃이 13-19개이며 엽병 기부가 넓지 않고 잎 뒷면에 털이 보다 많다.


특징

흔히 `박쥐나물`이라고 하며 종류가 여럿 있으나 통틀어서 박쥐나물로 통칭되는 맛있는 고급 산나물이다. 박쥐나물의 세모꼴 모양의 큰잎은 흡사 박쥐가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형상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줄기설명

높이 1-2m이고 곧게 자라며 대궁의 속이 비어 있고 녹색이다. 윗부분에서 가지가 퍼지며 가지에 짧은 털이 있다.


크기설명

높이 1~2m 정도 자란다.


사용법

▶봄에 나온 잎을 생으로 밥을 싸먹는 산나물이다. 어린 싹을 나물로 무쳐 먹거나, 기름에 볶기도 하고 국거리로도 이용하며 샐러드나 튀김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향채인데 조림(줄기)도 하고 삶아서 말렸다가 묵나물로도 이용하는 영양가 높고 강장(强壯)의 효과도 있는 훌륭한 건강식품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민산갈퀴  (0) 2023.01.13
[식물도감] 민백미꽃  (0) 2023.01.13
[식물도감] 민바랭이새  (0) 2023.01.13
[식물도감] 민바랭이  (1) 2023.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