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민바랭이새
영문명: East Asian glabrate browntop
과국명: 벼과
과명: Poaceae
속국명: 민바랭이새속
속명: Microstegium
정명학명: 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
이명학명: Leptatherum japonicum (Miq.) Franch. & Sav.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
꽃 화서
화서는 2~6개의 총(raceme)이 장상으로 달리고 화서는 길이 4~6cm, 화축은 가늘고 마디마다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꽃 소수(특징)
소수는 길이 3.0~3.5mm, 1개의 무성소화와 1개의 양성소화가 있다.
꽃 소수 포영
포영은 소수 길이와 같고, 제1포영은 중앙맥이 없이 가장자리 쪽에 4~6맥이 있으며 제2포영은 3맥이 있다.
꽃 소수 소화(특징)
제1소화는 무성으로 투명하고 제2소화는 임성이다.
꽃 소수 소화 호영
제1소화 포영 길이의 2/3이다. 제2소화 호영은 소수 길이의 1/2, 끝은 2개의 톱니로 갈라지고 사이에서 길이 6~8mm의 가는 까락이 나온다.
꽃 소수 소화 내용
제2소화 내영은 없거나 미미하다.
열매설명
영과
생육환경설명
낮은 지대의 반음지에 자란다.
잎 엽신
엽신은 길이 2~7cm, 너비 5~10mm이다.
잎 엽신 길이
2~7cm
잎 엽신 너비
5~10mm
잎 엽초
엽초의 등 쪽은 털이 없으나 구부와 가장자리는 긴 털이 성기게 난다.
잎 옆설(특징)
엽설은 길이 0.5mm, 재두이다.
잎 엽설 길이
0.5mm
원산지
한국
해외분포
일본, 중국, 코카사스
뿌리설명
줄기 기부의 마디에서 뿌리를 낸다.
생육상 구분
1년생
특징
나도바랭이새(M. vimineum)에 비해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조금 넓고,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있다. 화서의 화축은 마디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으며, 수술은 2개이다.
줄기설명
줄기 기부의 마디에서 뿌리가 나면서 옆으로 뻗고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높이 20~40cm, 마디는 털이 없다.
줄기 높이
20~40cm
크기설명
높이는 20-70㎝.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민백미꽃 (0) | 2023.01.13 |
---|---|
[식물도감] 민박쥐나물 (0) | 2023.01.13 |
[식물도감] 민바랭이 (1) | 2023.01.13 |
[식물도감] 민바꽃 (0)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