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딱지꽃
영문명: East Asian cinquefoil
과국명: 장미과
과명: Rosaceae
속국명: 양지꽃속
속명: Potentilla
비추천명: 당딱지꽃,딱지,갯딱지
정명학명: Potentilla chinensis Ser.
이명학명: Potentilla chinensis Ser. subsp. trigonodonta Hand.-Mazz.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 분근에 의한다.
분포정보
▶일본, 만주, 아무르,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덕유산), 경남(금정산), 경북(팔공산), 충남, 충북, 강원(치악산), 경기(광릉), 황해,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꽃설명
꽃은 황색으로 6~7월에 피고 지름 1-2cm로서 산방상 취산꽃차례로서 정생한다. 화경은 가늘며, 포는 손바닥모양으로 갈라진다. 꽃받침조각은 좁은 달걀모양이고 예두이며 부악편은 피침형이고 뒷면에 흰 솜털이 있다. 꽃잎은 도란상 요두로서 각각 5개이며 턱엽에 털이 있다.
열매설명
수과로서 넓은 달걀모양이고 세로로 주름살이 지며 길이 1.3mm정도이고 뒷면에 능선이 있다. 7~8월에 익는다.
생육환경설명
개울가의 들이나 해변가에 난다.
잎설명
잎은 우상복엽이며 근생엽이 옆으로 퍼지고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소엽은 15-29개로서 밑부분의 것은 점차 작아지고 윗부분의 것은 거꿀피침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cm, 폭 8-15mm로서 표면은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백색 면모(綿毛)가 밀생하고 특히 맥위에 긴 견모가 있으며 거의 주맥까지 갈라지고 탁엽은 넓은 타원형이며 우상으로 갈라진다.
원산지
한국
뿌리설명
땅속에 흑갈색의 굵고 긴 원주상 뿌리가 있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유사식물설명
▶솜양지꽃(P. discolor) : 잎 표면에 솜같은 털이 밀생하며 봄철에 손가락만한 뿌리를 먹으면 밤같은 맛이 있다.
▶털딱지꽃 (var.concolor FR.et SAV.): 잎 표면에 털이 많으며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설명
높이 30-60cm이고 모여나기하며 거칠고 크다. 융털이 있다.
크기설명
높이 30-60cm 가량이다.
사용법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딱지꽃, 털딱지꽃의 根(근)및 全草(전초)를 萎陵菜(위릉채)라 하며 약용한다.
① 4-10월에 뿌리가 달린 全草(전초)를 채취하여 花枝(화지)와 果枝(과지)를 제거하여 말리거나 지상부의 莖葉(경엽)을 모두 제거하고 뿌리만 쓴다.
②성분 : 신선한 것에는 수분 62.39%, 비타민C 49.4mg%가 함유되어 있고 건조품에는 수분 12.12%, 단백질 9.18%, 지방 4.03%, 組纖維(조섬유) 21.89%, 무기성분 7.25% 등이 함유되어 있다. 根(근)에는 tannin質(질)이 많다.
③약효 : 祛風濕(거풍습), 해독의 효능이 있다. 이질, 류머티성 筋骨疼痛(근골동통), 사지마비, 癲癎(전간), 瘡疥(창개-피부병)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散劑(산제),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거나 粉末(분말)로 살포하거나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디기탈리스 (0) | 2023.01.02 |
---|---|
[식물도감] 딱총나무 (0) | 2023.01.02 |
[식물도감] 등칡 (0) | 2023.01.02 |
[식물도감] 등포풀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