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디기탈리스

MinorMan 2023. 1. 2. 23:57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디기탈리스

영문명: Common foxglove

과국명: 질경이과

과명: Plantaginaceae

속국명: 디기탈리스속

속명: Digitalis

정명학명: Digitalis purpurea L.


<상세정보>

방제방법

▶병해방제 -줄기썩음병 : ①병원균은 땅속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미리 클로르피크린 같은 것으로 토양소독을 한다. ②정식 전에 포르말린 68kg으로 소독하는 것도 좋다. ③물빠짐이 좋은 토지에 재배하고, 연작(連作)은 피한다.

▶충해방제 : 여러 가지 있으나, 디기탈리스에는 잔효성(殘效性)이 길은 것은 좋지 않으므로, 속효성(速效性)인 것을 쓴다. 진딧물과 스립프스의 겸용으로는 DDVP제의 1,000~2,000배액을 뿌리는 것이 좋다.

▶뽕나무잎벌레 : 4~5월에 10일 간격으로 밧사유제 또는 오후나크엠분제를 뿌려주면 방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미리 약해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번식방법

보통은 종자로 번식하고, 주로 육묘 이식한다.

▶육묘 이식법: 봄과 가을에 파종할 수 있으나, 중부 이북에서 가을에 파종할때는 방한 설비가 필요하므로 대개 봄에 파종하는 것이 편리하다. 대개 가을 파종은 8월 하순~11월 상순, 봄 파종은 3월 하순경이 적기이다.

▶직파법: 파종 후 3주일이 되면 싹이 트는데 곧 밀생한 곳은 솎아서 포기사이를 20cm로 한다. 월동시 중부 이북 지방에서는 방한 설비로 짚을 두껍게 덮어준다.


병충해정보

▶병해로는 생육환경이 좋지 않은 때에 많이 발생하며, 여러 종류가 판명되어 있으나, 특히 피해가 많은 것은 줄기 썩음병이다. 이병은 우선 엽병(葉病)의 밑둥이나 근두부(根頭部)가 과사하며, 잎은 이상하게 시들며, 근두의 중심부부터 흑변하여 드디어 말라 버린다. 장마 후의 기온이 급상승할때에 많이 발생한다.

▶충해로는 잔딧물과 스립피스가 잘 붙는다. 진딧물은 봄.가을에 발생한다. 스립피스는 주로 봄에 꽃봉오리 맺는 시기 후에 급격히 번져서 잎색을 다갈색으로 변색시킨다.

또한 뽕나무잎벌레(Phyllobrotica armata BALY.)도 발생하는 수가 있다. 이벌레는 길이 6mm의 흑람색의 딱정벌레이다. 알은 타원형으로서 긴지름 0.9mm의 황색이다. 애벌레는 길이 12mm로서 머리의 담갈색, 몸체의 담황색으로 배다리가 없다. 번데기는 길이 6mm의 담황색이다. 연 1회 발생하며 애벌레로 월동한다. 이듬해 봄에 번데기로 되며, 어른벌레는 4월쯤부터 나타나서 잎을 먹는다. 5~6월에 알을 낳고, 애벌레는 땅속에 있어 뿌리를 먹는다. 가을에 노숙하면 땅굴을 만들고 그 안에서 월동한다.


분포정보

전국에 재배한다.


재배특성

▶묘종기르기 : 봄과 가을에 파종할 수 있으나, 중부이북에서 가을에 파종할 때는 방한설비가 필요하므로 대개는 봄에 파종하는 것이 편리하다. 대개 가을 파종은 8월 하순~11월 상순, 봄 파종은 3월하순경이 적기이다. 모판은 10a당 33㎡를 준비하되 배수가 좋고 햇볕이 잘 드는 장소를 택한다. 밑거름으로 완숙한 두엄, 과석, 나무재등을 준후 2주일쯤 지나서 땅을 잘 고르고 씨를 뿌리고 흙을 엷게 덮고 다시 볏짚을 깔아 준다.

▶아주심기 : 봄에 파종한 것은 가을, 가을에 파종한 것은 봄에 뿌리잎의 길이가 7.5cm쯤 자랐을 때 본밭에 심는다. 본 밭에는 미리 밑거름으로 두엄 750kg, 나무재 60kg, 과석 40kg을 준다. 심을 때는 이랑나비 30cm, 포기사이 20cm정도로 한다. 덧거름으로는 복합비료를 2-3회 가볍게 주면좋다.

▶직파법 : 앞에서 설명한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되, 뿌림줄사이는 30cm로 하고 가는 모래를 씨와 혼합해서 뿌린 후 흙도 엷게 덮고 짚을 깔아 주어야 한다. 파종 후 3주일이 되면 싹이 트는데 곧 밀생한 곳은 솎아서 포기사이를 20cm로한다. 월동시 중부이북지방에서는 방한 설비로 짚을 두껍게 덮어 준다.


꽃설명

꽃은 7-8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서 수상으로 발달하며 밑부분에서부터 피어 올라가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상 피침형으로서 예두이다. 꽃부리는 홍자색이고 짙은 반점이 있으며 종형이지만 가장자리가 다소 순형으로 된다. 2강수술이 있고 암술머리는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설명

삭과는 원뿔모양이며 꽃받침이 남아 있다.


생육환경설명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는 식물이다. 토질은 모래참흙이 가장 적합하나, 진흙이 다소 섞여도 무방하고 또 약간 척박한 곳에서도 재배된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 타원형이며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있고 양면에 주름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원산지

유럽 원산이다.


보호방안

부초는 가뭄·추위·잡초를 방지할 뿐아니라 잎에 흙이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보릿짚, 볏짚, 마른풀을 이랑사이 및 그루사이에 빈틈없이 깐다. 웃거름을 줄 때에는 이것을 한쪽으로 몰아서 거름을 주고 다시 원래대로 깔아 놓는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설명

높이가 1m에 달하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선다.


크기설명

높이 1m이다.


사용법

▶주성분은 디기톡신으로 극약이다. 따라서 의사의 지도 없이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심장변막결손심근염, 만성 심장쇠약에 유효한 심장 강장제로서 중국에서는 이것을 모지황엽이라 하여 강심 및 이뇨에 사용한다.

▶엽(葉)은 毛地黃(모지황)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에서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强心配糖體(강심배당체)로 불리우는 독특한 steroid 배당체가 중심이 되는 것으로 식물 중에는 주로 prupurea glucoside-A, -B 또는 glucogitaloxin으로서 포함되어 있으며 이것들은 효소로 분해되어서 각기 digitoxin, gitoxin, gitaloxigenin이 된다. 이외에도 강심배당체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非糖體(비창체)의 steroid에 의해서 분류하면 digitoxigenin계(系)의 6종, gitoxigenin계(系) 9종, gitaloxigenin계(系) 5종이 알려져 있다. 또 saponin의 F-gitonin, desgalactotigonin 등 flavonoid의 luteoline, luteorin-7-glucoside, digicitrin, hesperidin, monoterpene의 digipurolactone 등이 알려졌다.

③약효 : 强心(강심), 利尿(이뇨)의 효능이 있다. 心機能不全(심기능부전), 心臟無力(심장무력), 慢性瓣膜症(만성판막증), 浮腫(부종)을 치료한다. 散劑(산제)로 하여 0.03-0.1g을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땃딸기  (0) 2023.01.02
[식물도감] 땃두릅나무  (0) 2023.01.02
[식물도감] 딱총나무  (0) 2023.01.02
[식물도감] 딱지꽃  (0) 2023.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