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대청

MinorMan 2022. 12. 26. 17:09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대청

영문명: Dyer’s woad

과국명: 배추과

과명: Brassicaceae

속국명: 대청속

속명: Isatis

비추천명: 개갓,갯갓,좀대청

정명학명: Isatis tinctoria L.

이명학명: Isatis taurica M.Bieb.


<상세정보>

번식방법

6-7월경에 채취한 종자를 곧바로 파종하면 당년 9월 초순경에 발아하여 상록인 상태로 월동하고 이듬해 5-6월경에 개화한 후 고사한다.


분포정보

북방계 식물로 북한의 원산 부근 바닷가에서 자란다.


재배특성

발아한 종자는 이듬해 이른 봄에 적절히 이식해야 개화결실이 좋다. 재배지의 토양은 보습성이 필요하나 너무 비옥하면 식물체가 과다하게 도장하여 관상가치가 떨어지고 병충해가 심해진다. 따라서 가능한한 시비를 자제한다. 식물체 주변의 제초작업을 철저히 한다.


꽃설명

꽃은 5-6월에 피며 황색이고 총상꽃차례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발달하며 꽃자루는 가늘고 다소 처진다. 꽃받침조각은 넓은 주걱모양이며 녹색이고 길이 2mm로서 수평으로 퍼지며 꽃잎은 길이 3.5mm로서 거꿀달걀모양이고 원두이다.


열매설명

각과는 길이 15mm, 폭 4-5mm로서 쐐기같은 거꿀피침모양이며 끝이 밑으로 처지며 흑색으로 익고 1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생육환경설명

주로 햇볕이 잘 드는 바닷가 사질토양에서 자란다.


잎설명

근생엽은 크고 엽병이 있으나 줄기잎에는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이저로서 원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다.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자생지는 주로 북한에 있으므로 종의 인공적인 대량증식에 의해 경제적으로 널리 이용하고 자생지외 보존이 반드시 필요하다.


뿌리설명

뿌리는 굵고 길게 뻗는다.


형태

두해살이풀


특징

두해살이풀, 종명 tinctoria는 염료의 의미를 갖는데 이 식물의 잎에서 남색(藍色)의 염료를 추출한다.


줄기설명

높이 30-70cm로 털이 없으며 분백색이다.


크기설명

높이가 30-70cm로 자란다.


사용법

▶초장이 길고 다화성 식물이므로 개화기에 대단히 화려한 경관을 연출한다. 따라서 고수부지나 개활지의 평지에 대규모로 군식하면 좋다. 특히 습기에 잘 견디므로 고수부지 등에 식재하면 좋다. 한번 파종하면 자연 발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특별히 번식에 신경 쓸 필요는 없다.

▶쪽과 더불어 귀중한 천연염료(남청색)자원이기도 하다.

▶근경(根莖) 및 근(根)은 板藍根(판람근), 엽(葉)은 大靑葉(대청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板藍根(판람근)

①초겨울에 뿌리를 캐어 경엽(莖葉)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대청의 뿌리에는 indoxyl-β-glucoside, β-sitosterol, isantin, 판람근 結晶(결정)B, 판람근 결정C, 판람근 결정D가 함유되어 있고 또 식물성 단백질, 樹枝狀 物質(수지상 물질), 糖類(당류)도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arginine, proline, glutamine

酸(산)tyrosine, γ-alanine, baline, leucine이다. 또 sinalbin이 함유되어 있어서 Gram 陽性菌(양성균) 및 Gram 陰性菌(음성균)에 대한 抑菌物質(억균물질)과 kinetin도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凉血(양혈)의 효능이 있다. 유행성 감기, 유행성뇌막염, 일본뇌염, 폐렴, 丹毒(단독), 熱毒發疹(열독발진), 失神 鼻出血(실신 비출혈), 咽喉腫痛(인후종통), 口內炎(구내염), 流行性耳下腺炎(유행성이하선염), 급성결막염, 瘡疹(창진)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大靑葉(대청엽)

①잎, 지엽(枝葉)을 8-10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淸熱(청열), 해독, 凉血(양혈), 止血(지혈)하는 효능이 있다. 溫病(온병)의 高熱(고열), 口渴(구갈), 유행성감기, 급성전염성간염, 細菌性下痢(세균성하리), 급성위장염, 급성폐렴, 丹毒(단독), 鼻出血(비출혈), 황달, 이질, 喉頭結核(후두결핵), 口瘡(구창), 癰疽腫毒(옹저종독)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생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脾胃虛弱(비위허약-소화기능감퇴)者(자)는 복용을 금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대청부채  (0) 2022.12.26
[식물도감] 대청가시나무  (0) 2022.12.26
[식물도감] 대암사초  (0) 2022.12.26
[식물도감] 대암개발나물  (0) 2022.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