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단삼
영문명: Dan-shen
과국명: 꿀풀과
과명: Lamiaceae
속국명: 배암차즈기속
속명: Salvia
정명학명: Salvia miltiorrhiza Bunge
이명학명: Salvia pogonocalyx Hance
<상세정보>
분포정보
재배종.
꽃설명
꽃은 5-6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줄기 끝에 층층으로 달리며 축에 샘털이 밀생하고 포는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꽃자루보다 짧다. 꽃받침은 통모양이고 길이 8-10mm로서 자줏빛이 돌며 샘털이 있고 꽃부리는 양순형이며 길이 2-2.5cm로서 하순이 3개로 갈라지고 중앙열편이 가장 길며 끝이 파지고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다. 수술은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열매설명
2~3개의 소견과로 난상 원형이며 밋밋하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고 단엽 또는 이회깃모양겹잎으로서 엽병이 길며 소엽은 1-3쌍이고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뒷면에 털이 밀생하며 둔한 톱니가 있다.
원산지
중국 원산.
뿌리설명
뿌리는 색이고 특이한 냄새가 나며 약간 쓴맛이 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특징
약용자원으로 재배한다. 뿌리가 적색이므로 단삼이라고 한다.
줄기설명
높이 40-80cm이고 전체에 털이 밀생한다.
크기설명
키는 40~80cm이다.
사용법
▶根(근)을 丹蔘(단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11월 상순부터 다음해 3월 상순까지 채취하는데 11월 상순에 캐낸 것이 가장 좋다. 뿌리를 파내어 진흙이나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活血(활혈), 祛瘀(거어), 淸心除煩(청심제번), 凉血消癰(양혈소옹), 排膿止痛(배농지통)의 효능이 있다. 心絞痛(심교통), 월경불순, 월경통, 월경폐지, 血崩(혈붕), 帶下(대하), (징하-腹中(복중)의 硬結(경결)), 積聚(적취), 瘀血腹痛(어혈복통-鬱血腹痛(울혈복통)), 骨節疼痛(골절동통-관절통), 驚悸不眠(경계불면), 惡瘡腫毒(악창종독)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5-15g을 달여서 복용하던가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바짝 졸여서 膏劑(고제)로 만들어 바르거나 달인 液(액)으로 熏洗(훈세)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단양쑥부쟁이 (0) | 2022.12.23 |
---|---|
[식물도감] 단수수 (0) | 2022.12.23 |
[식물도감] 닥풀 (0) | 2022.12.23 |
[식물도감] 닥장버들 (0)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