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닥풀
과국명: 아욱과
과명: Malvaceae
속국명: 무궁화속
속명: Hibiscus
비추천명: 당촉규화,촉귀,황촉규
정명학명: Hibiscus manihot L.
이명학명: Hibiscus japonicus Miq.
<상세정보>
분포정보
전국 각처
꽃설명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중심부는 흑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밑부분의 것은 엽상포이지만 위로 갈수록 포가 작아진다. 꽃밑에 있는 작은포는 4-5개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과 더불어 나중에 떨어지고 꽃잎은 5개이며 기와장을 인 모양으로 겹쳐지고 많은 세로맥이 있으며 밑부분이 흑자색이고 수술은 단체(單體)이며 암술대는 5개로 갈라지고 흑자색이다.
열매설명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5개의 둔한 능선과 더불어 굳센 털이 있고 종자는 원숭이의 머리와 같은 모양이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엽신은 5-9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고 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다.
원산지
중국 원산
뿌리설명
뿌리는 점성이 있다.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설명
높이 1-1.5m이고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는 없다.
크기설명
높이 1~1.5m
사용법
▶화(花), 근(根), 경(莖), 엽(葉), 종자를 약용한다.
⑴黃蜀葵花(황촉규화)
①여름에 꽃이 만개하였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通淋(통림), 消腫(소종),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 癰疽腫(옹저종), 화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6g을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하여 조합해서 붙이거나 또는 기름에 담가 塗布(도포)한다. 姙婦(임부)의 복용은 금한다.
⑵黃蜀葵根(황촉규근)
①가을에 뿌리를 캐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점액질이 약 16%이고 araban 12.30%, galactan 13.19%, rhamnosan 8.08%, 전분 16.03%, 단백질 6.38%, 수산칼슘 17.61%로 이루어져 있다.
③약효 : 利水(이수), 散瘀(산어),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 浮腫(부종), 乳汁分泌障碍(유즙분비장애), 耳下腺炎(이하선염), 癰腫(옹종)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신선한 것은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임부의 복용을 금한다.
⑶黃蜀葵莖(황촉규경)
①줄기 또는 莖皮(경피)로 여름 또는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和血(화혈), 邪熱(사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産褥熱(산욕열), 화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하거나 계란과 함께 삶아서 먹는다. <외용> 기름에 담갔다가 바른다.
⑷黃蜀葵葉(황촉규엽) - 내복하면 解瘡毒(해창독), 排膿生肌(배농생기)의 효능이 있다.
⑸黃蜀葵子(황촉규자)
①가을에 과실이 성숙되었을 때 채취한다.
②약효 : 利水(이수), 消腫(소종), 乳通(유통)의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 浮腫(부종), 乳汁不通(유즙불통), 癰(옹)의 腫脹(종창), 타박상, 골절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9g을 달이거나 또는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분말해서 조합하여 붙인다. 임산부에는 금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단수수 (0) | 2022.12.23 |
---|---|
[식물도감] 단삼 (0) | 2022.12.23 |
[식물도감] 닥장버들 (0) | 2022.12.23 |
[식물도감] 닥나무 (0)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