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관중

MinorMan 2022. 12. 1. 02:16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관중

영문명: Shield fern

과국명: 관중과

과명: Dryopteridaceae

속국명: 관중속

속명: Dryopteris

비추천명: 면마,호랑고비,히초미

정명학명: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이명학명: Dryopteris setosa Kudô


<상세정보>

번식방법

▶분주나 포자로 번식한다.

포자낭군은 잎 윗부분의 우상엽 주맥 가까이에 2줄로 붙어 있다. 포막은 둥근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분포정보

일본, 중국, 러시아


재배특성

▶부식질이 많은 부식토나 수태에 심어서 재배한다.

▶반그늘 또는 그늘에서 잘 자라고,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관수 관리:산지의 그늘진 음습한 곳에서 자생한다. 보통으로 관수하고, 공중 습도는 다습하게 관리하고 환기를 요한다.

▶환경내성은 보통이며, 이식성은 용이하다.


생육환경설명

산지의 숲 속


잎 엽병

길이 10.5-31.5cm로 광택이 있는 황갈색-흑갈색 피침형 인편이 붙으며 기부의 인편은 길이 10.8-24.8mm이다.


잎 엽신

길이 21.8-75.8cm, 너비 15.3-28.8cm로 장타원형이며 2회우상심열한다. 우편과 중축에 황갈색의 실 같은 인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다. 우편은 20-30쌍 내외이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자루가 없으며 하부우편은 약간 축소된다. 열편은 끝이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엽맥은 표면에 얕게 골이 파이며, 소맥은 2개로 갈라진다.


노트

보태면마(D. coreano-montana Nakai)는 본 종과 유사하지만 엽병 상부와 중축의 인편이 그다지 밀생하지 않고, 소우편의 간격이 넓은 것이 다르다. 우리나라 함북지역에 자라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지리적 여건상 아직까지 확인하지 못 하였다.


원산지

한국.


생육상 구분

하록성이다.


유사식물설명

▶비늘고사리(D. lacera)

▶곰비늘고사리(D. uniformis)

▶유럽산관중(D. filix-mas)

▶북미산 관중(D. marginalis)

▶아프리카산 관중(D. anthemintica)


특징

산비늘고사리(D. polylepis (Franch. et Sav.) C.Chr)는 본 종과 비교하여 열편의 폭이 좁고, 포자낭군이 가장자리 가까이 붙으며, 엽병과 인편의 색이 검고 진하며, 엽맥이 분지하지 않는 점이 다르다. 우리나라에서 지리산과 제주도에 자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 확인된 바 없다.


포자 포막

신장형이다.


포자 포자낭군

상부우편에만 붙고, 보통 소우편의 중륵과 가장자리 중간에 붙지만 중륵이나 가장자리 가까이 붙기도 한다.


줄기 근경

굵고 짧으며 직립한다.


크기설명

높이 50-100cm.


사용법

▶분화식물로 재배하거나 정원의 수목 아래 심어 관상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관중 및 同屬(동속) 近緣植物(근연식물-참새발고사리, 털고사리, 청나래고사리, 새깃아재비, 고비)의 根莖(근경)을 貫中(관중)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가을에 뿌리째 캐어서 엽병,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흙을 털어 깨끗이 씻어 햇볕에서 말린다.

②성분 : 관중 근경의 주요성분은 filmarone 이며, 이것은 일종의 복잡한 phloroglucinol 유도체로서 불안정하며 서서히 분해해서 aspidin, albaspidin이 생기고 또 aspidinol, flavaspidic acid, filicinic acid을 함유한다. 그 밖에 精油(정유), filixtanninwlf, 지방, 수지 등을 함유하며 또한 triterpenoid의 fernene, hopene-b(diploptene), adiantone, hydroxyhopane(diplopterol) hopanol-29 (neriifoliol), filicene 등을 함유한다. 포기고사리의 근경은 ponasterone A, ecdysterone, pterosterone을 함유한다. 고비의 근경은 ponasterone A, ecdysterone을 함유한다. 새깃아재비의 근경은 전분(26.5% 혹은 48.5%), tannin을 함유한다.

③약리 : 구충작용, 抗(항)비루스作用(작용), 항균작용 등이 있다.

④독성 : 綿馬(면마-관중의 뿌리를 칭한다)는 유독하므로 그다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隨意筋(수의근)(心筋(심근) 포함)을 마비시키고 위장을 자극하며 심한 경우에는 구토, 설사, 시력장애 등을 일으키고, 결국 실명에 이른다. 중독시에는 中樞神經(중추신경)의 장애, 떨림, 痙攣(경련), 또한 延髓痲痺(연수마비)를 일으킨다. 姙婦(임부), 허약환자, 소아, 實質器官(실질기관)의 질병환자, 소화기관 潰瘍患者(궤양환자)는 모두 사용을 금한다.

⑤약효 : 회충, 조충, 요충을 구제, 淸熱(청열), 해독, 凉血(양혈), 지혈의 효능이 있다. 風熱感氣(풍열감기), 溫熱斑疹(온열반진), 토혈, 鼻出血(비출혈), 腸風血便(장풍혈변), 血痢(혈리), 血崩(혈붕),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또 유행성감기, 유행성B형뇌염, 유행성이하선염 등의 전염병을 예방한다. 그 밖에 월경과다, 風寒濕痺(풍한습비), 腰膝酸痛(요슬산통), 遺尿(유뇨)를 치료한다.

⑥용법/용량 : 4.5-9g을 달이거나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 가루 내어 조합해서 바른다.

⑦금기 : 陰虛內熱(음허내열) 및 脾胃虛寒(비위허한)한 자에게는 좋지 않다. 姙婦(임부) 등은 금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광대나물  (0) 2022.12.01
[식물도감] 광나무  (1) 2022.12.01
[식물도감] 관모포아풀  (0) 2022.12.01
[식물도감] 관모박새  (0) 202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