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곰솔

MinorMan 2022. 12. 1. 02:01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곰솔

영문명: Black pine

과국명: 소나무과

과명: Pinaceae

속국명: 소나무속

속명: Pinus

비추천명: 가지해송,곰반송,왕솔,해송

정명학명: Pinus thunbergii Parl.

이명학명: Pinus thunbergii Parl. f. multicaulis Uyeki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로 쉽게 실생묘가 양성될 수 있다.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였다가 파종 1개월 전에 노천매장한 후 파종한다.
ⓑ어린 묘목은 다른 소나무류의 접목용 대목으로 쓰이고 있다.
ⓒ순량율 96%, ℓ당 입수 35,262립, 발아율 92% 이다.


분포정보

한국(경기,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일본(혼슈, 큐슈)


재배특성

조림: 곰솔은 천연하종갱신이 잘되는 수종이므로 훌륭한 어미나무가 있는 곳에서는 묘목을 심는 것보다 이 천연갱신을 유도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천연갱신을 위하여는 형질이 좋은 모수를 정보당 20-30본을 남기고 벌채하며, 임지에는 제초제를 살포하거나 잡초와 잡관목을 모두 제거하고 흙이 들어나도록 긁어주어야 천연치수가 잘 나온다. 사방지 조림이나 방풍림조성 조림 등을 위하여 묘목을 심는 조림의 경우에는 2년생 묘목을 정보당 3,000본씩 심는다.
풀베기: 풀베기란 3-5년간 해주는데 잡관목이 무성한 곳은 6월과 8월 2회씩 해주어야 발생된 치수 또는 조림목이 잘 자랄 수 있다. 제초제중 헥사지논은 곰솔에 피해없이 잡초와 잡관목만 죽으므로 3월 하순부터 4월 하순사이에 정보당 50㎏을 살포하면 3년간 풀베기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잡목 솎아베기: 낫으로 풀베기한 곳은 3-4년이 지난 후에, 곰솔이 밀생된 곳은 적당한 본수만 남기고 솎아베주어야 한다.
▶가지치기: 가지치기 높이는 제일 긴 가지 바로 밑에까지 하는데, 보통 나무줄기의 직경이 6m정도 되는 곳까지 한다. 가지치기 본수는 벌채할 때까지 남겨둘 나무 본수보다 조금 많은 1,000본 내외만을 골라서 한다. 가지치기는 톱으로 줄기에 바짝 붙여서 줄기와 평행이 되도록 잘라준다. 낫으로 하게 되면 줄기에 상처를 주거나 바짝 붙여서 자를 수가 없으므로 반드시 톱으로 잘라 주어야 한다.
▶간벌: 나무를 심은지 15년생 내외가 되면 시작한다.


노트

곰솔(P. thunbergii)은 한반도 중부 이남과 일본의 도서, 해안 및 연안에 분포하는 침엽수로 해송, 흑송, 검솔, 숫솔 등으로도 불리운다. 내륙의 소나무(P. densiflora)와 비교하여 검은 수피, 수지구의 위치, 흰색의 동아 인편을 갖는 특징 등으로 구분된다(Yang et al., 2012).


원산지

한국, 일본


형태

상록교목이며, 높이 20m, 지름 1m 정도로 자란다. 수피는 흑갈색이고, 깊게 갈라진다. 어린가지는 황갈색이다. 잎은 바늘형이며, 짙은 녹색이고, 2장씩 모여 나며, 길이 46.1∼131.7mm, 너비 0.7∼1.4mm이다. 다소 비틀리고, 끝이 뾰족하며, 아린은 회백색이고, 2∼3년 동안 남아있다. 구화수는 5월에 달리고, 암수한그루, 웅성구화수는 원통형이며, 자갈색이고, 길이 9.9∼17.4mm이며, 새가지 아래쪽에 여러 개가 모여 달린다. 자성구화수는 난형이며, 길이 5.6∼9.1mm이고, 새가지 끝에 보통 2개씩 달리지만 그 이상 달리기도 한다. 구과는 난상 장타원형이고, 녹갈색으로 익으며, 길이 33.2∼60.8mm, 너비 28.0∼53.1mm이다. 실편은 중앙부가 나오지만 중앙부의 돌기가 뾰족하지 않고, 74개 내외이며, 길이 17.0∼20.3mm, 너비 9.9∼10.1mm이다. 종자는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자흑색이며, 거칠고, 길이 4.4∼5.2(8)mm, 너비 2.6∼2.9mm이다. 종자날개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9.9∼11.9mm, 너비 4.7∼6.6mm이다. 결실기는 다음해 9월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곰취  (0) 2022.12.01
[식물도감] 곰의말채나무  (0) 2022.12.01
[식물도감] 곰비늘고사리  (0) 2022.11.30
[식물도감] 곰딸기  (0)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