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골고사리

MinorMan 2022. 11. 30. 04:30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골고사리

영문명: Hart’s-tongue fern

과국명: 꼬리고사리과

과명: Aspleniaceae

속국명: 꼬리고사리속

속명: Asplenium

비추천명: 나도파초일엽,변산일엽

정명학명: Asplenium komarovii Akasawa

이명학명: Phyllitis japonica Kom.


<상세정보>

번식방법

▶분주 또는 포자번식한다.


분포정보

세계의 온대 지역


재배특성

음지식물로 음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온실 관엽식물이며 이식성은 보통이다.


생육환경설명

산지의 숲 속


잎 엽병

길이 6.6-21.9cm, 지름 1.4-3.3mm로 녹갈색이다. 기부의 인편은 갈색이며, 길이 3.9-9.8mm로 피침형이며, 상부의 인편은 연한갈색이며, 1.3-6.5mm로 피침형이다.


잎 엽신

단엽으로 길이 19.3-46.3cm, 너비 3.4-8.4cm이다.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다. 중축에 달린 인편은 연한 갈색으로 길이 1.5-4.1mm이며, 피침형이다.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생육상 구분

상록성이다.


포자 포막

길이 7-25mm로 막질이다.


포자 포자낭군

선형이며 길이 8.3-24.6mm, 너비 0.8-2.2mm로 엽신의 1/3이상부터 측맥과 나란히 2개씩 마주 달린다.


줄기 근경

비스듬히 나며, 마른 잎의 기부로 덮인다.


크기설명

깅이가 20~25cm,폭은 4~6cm


사용법

▶화분에 심어 관엽식물 또는 초물분재처럼 감상하면 좋다. 실내정원에 식재하여도 효과적이며 남부지방에서는 암석원 등에 식재하면 좋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골등골나물  (0) 2022.11.30
[식물도감] 골담초  (0) 2022.11.30
[식물도감] 곤약  (1) 2022.11.30
[식물도감] 곤달비  (0)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