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개박하
영문명: Catnip
과국명: 꿀풀과
과명: Lamiaceae
속국명: 개박하속
속명: Nepeta
비추천명: 돌박하,말들깨
정명학명: Nepeta cataria L.
이명학명: Nepeta vulgaris Lam.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제주도)
꽃설명
꽃은 6~8월에 피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원추상으로 달리며 화수(花穗)는 길이 2~4cm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퍼진 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 끝이 침형이다. 꽃부리는 자주색 점이 있으며 전체가 백자색이고 첫째 열편이 가장 크며 4개의 수술중에서 2개가 길다.
열매설명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꽃받침속에 들어 있고 타원형이며 길이 1.5mm로서 흑갈색이다.
생육환경설명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며 삼각상 달걀모양이고 예두이며 심장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6cm, 너비 2~3.5cm로서 가장자리에 굵고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해외분포
중국, 일본
보호방안
제주도의 상록활엽수림 아래, 삼척시 환선굴 가는 개천에 자생하나 개체수는 많지 않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설명
전체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둔한 사각형이고 윗부분에서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크기설명
높이 50~100cm 정도이다.
사용법
▶全草(전초)를 假荊芥(가형개)라 하며 약용한다.
①성분 : Nepetalactone, isonepetalactone, dihydronepetalactone, isodihydronepetalactone, 5,9-dihydronepetalactone, nepetalic acid, nepetalic anhydride, caryophyllene, eugenol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精油(정유)를 함유하며, 또 carotene도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祛風(거풍), 發汗(발한), 解熱(해열), 透疹(투진), 止血(지혈) 등의 효능이 있다. 傷風(상풍)에 의한 감기, 두통, 發熱(발열), 惡寒(악한), 咽喉腫痛(인후종통), 결막염, 痲疹(마진)의 經過不全(경과부전)을 치료한다. 또 새까맣게 될 때까지 볶아서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便(혈변)에 사용한다. 그 밖에 散瘀(산어), 消腫(소종), 止痛(지통), 타박상, 外傷出血(외상출혈), 독사에 의한 咬傷(교상), (정창절종)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6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개버무리 (0) | 2022.11.22 |
---|---|
[식물도감] 개발나물 (1) | 2022.11.22 |
[식물도감] 개박달나무 (0) | 2022.11.22 |
[식물도감] 개바늘사초 (0) | 202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