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개물푸레나무

MinorMan 2022. 11. 22. 00:42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개물푸레나무

영문명: Buerger’s maackia

과국명: 콩과

과명: Fabaceae

속국명: 다릅나무속

속명: Maackia

비추천명: 잔털다릅나무,털다릅나무,털코뜨래나무

정명학명: Maackia amurensis Rupr. var. buergeri (Maxim.) C.K.Schneid.

이명학명: Cladrastis amurensis (Rupr.) Benth. ex Maxim. var. buergeri Maxim.


<상세정보>

방제방법

▶깍지벌레류: 겨울에는 가지고르기, 가지치기 후인 12-4월 사이에 기계유 유제(95%)25배액을 가지와 줄기 전체에 살포하고 우화약충기에 메치온, 디메토유제 1,000배액을 2-3회 살포한다.

▶하늘소: 7월 상순에 지상1-1.5m이하의 원줄기 부분을 중심으로 전착제가 함유된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나무줄기에 살충제가 함유된 수성페인트를 발라준다.

▶독나방 : 유충가해기인 4-5월과 8-10월에 디프 4%분제 또는 80%수용제 1,000배액을 살포한다. 성충부화기인 6-7월에 등화 살포한다.

▶흰가루병: 다이센 또는 4-4식 보르도액을 살포하고 병든 잎, 가지를 소각한다.

▶갈색무늬병 : 7월 상순부터 2주간격으로 4-4식 보르도액을 뿌린다.

▶점무늬병:농용 신수화제(아그렙토,브라마이신 등)800배액 또는 6-6식 보르드액을 6월 하순-8월까지 3-4회 살포한다.


번식방법

뿌리를 삽목하기도 하나 일시에 많은 묘목을 생산코자 할 때는 9월에 종자를 채취하여 충해가 없도록 기건저장 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열탕법으로 발아 촉진한 후 파종한다. 파종 1개월전 종자와 젖은모래를 1:2(3)의 비율로 혼합하여 지하 30~50cm깊이에 노천매장을 하여 발아를 촉진시켜 파종한다. 순량율 83%, ℓ당 입수 18,523립, 발아율 70% 이다.


병충해정보

▶충해: 자나방류, 깍지벌레류, 하늘소류, 독나방

▶병해: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다릅나무 점무늬병, 다릅나무 회색무늬병


분포정보

전라남도 대둔산으로부터 함경북도 증산에 이르기까지의 각지와 표고 100~1,800m에 자생하며 500m부근이 중심 분포지역이고 중국의 만주, 아무르 등지에도 분포한다


꽃설명

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고 총상꽃차례 또는 원뿔모양꽃차례로서 황갈색 또는 회갈색의 짧은 밀모가 있다. 길이는 10-20cm이며 위를 향하고 꽃은 7월에 피며 백색이고 지름 8㎜로서 밀착한다.


열매설명

협과로 9월에 익으며, 넓은 선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3.5~5cm, 너비 7~9mm이고 열매자루는 길이 5~10mm이다. 종자는 길이 6㎜로서 콩팥모양에 가깝다.


생육환경설명

심산 지역의 산록, 산복 또는 계곡부의 토심 깊은 비옥적윤지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 내음성, 내조성, 내건성이 강하며 각종 공해에도 잘 견딘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이다. 소엽은 9-11개이고 타원형 또는 긴 달걀모양이며 짧은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5~8cm로서 잎 뒷면에 털이 있다.


원산지

한국


형태

낙엽활엽교목


유사식물설명

▶다릅나무(M. amurensis Rupr. et Maxim.): 잎은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길이 5-8㎝로 양면에 털이 없다.


줄기설명

직립하나 가지는 분지가 많이 생기고 사방으로 굵게 퍼진다. 껍질은 흙갈색 또는 황갈색으로 두껍고 평활하다.


크기설명

높이 15m, 직경 1.5m에 달한다.


사용법

목재는 기구재, 가구재, 완구재, 공예재 등으로 쓰이며 나무는 정원수, 공원수, 조림용, 밀원수로 이용할 수 있다. 잎은 가축의 사료로 쓸 수 있으며, 나무껍질은 염료, 약용으로 사용되고, 꽃은 밀원식물로 가치가 높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개미자리  (0) 2022.11.22
[식물도감] 개미난초  (0) 2022.11.22
[식물도감] 개물통이  (0) 2022.11.22
[식물도감] 개묵새  (0) 202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