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개똥쑥
영문명: Sweet wormwood
과국명: 국화과
과명: Asteraceae
속국명: 쑥속
속명: Artemisia
비추천명: 개땅쑥,개땅쑥비쑥,잔잎쑥
정명학명: Artemisia annua L.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분포정보
일본,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꽃설명
꽃은 6~8월에 피고 작은 머리모양꽃차례가 수상으로 달려서 전체가 원뿔모양꽃차례로 되며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1.5mm정도로서 황색이고 대개 구형이다. 낱꽃은 이저이며 꽃턱(花托)은 나출되어 있다. 총포조각은 털이 없고 2-3줄로 배열되며 외포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녹색이고 중포편과 내포편은 타원형이며 뒷면이 녹색이다.
열매설명
수과는 길이 0.7mm이고 담갈색으로 9월에 익는다.
생육환경설명
인가 주변의 빈터나 길가, 강가 등에서 흔히 자란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삼회깃모양겹잎이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4-7cm이고 최종열편은 나비 0.3mm정도이며 표면에 가로같은 잔털과 선점이 있고 엽축이 빗살모양톱니이며 윗부분의 잎이 작다. 열편은 피침형으로 황록색이다.
원산지
한국
형태
한해살이풀이다.
특징
전초를 청호(靑蒿)라 하다. 강한 냄새가 난다.
줄기설명
높이가 1m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녹색이고 가지를 많이 친다.
크기설명
높이 약 1m이다.
사용법
▶全草는 黃花蒿(황화호), 과실은 黃花蒿子(황화호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黃花蒿(황화호)
①가을에 채취하여 잘라서 그대로 햇볕에 말리거나 혹은 통째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서 抗말라리아原蟲(원충)의 유효성분인 arteannuin 및 arteannuin B 등이 추출되고 있다. 잎은 scopoletin, coumarin, artemetin, eupat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바람에 말린 식물을 수증기로 蒸溜(증류)하면 연한 녹색의 향이 좋은 精油(정유) 0.18%를 얻을 수 있다. 精油含油率(정유함유율)은 개화기가 최고이며 신선한 식물은 오래된 식물보다 함유율이 높다. 정유성분 중의 ketone類 물질의 함유율은 44.97%로 artemisia ketone 21%, l-樟腦(장뇌) 13%, 1,8-cineole 13%, l-β-artemisia alcohol의 醋酸(초산) ester 4%, pinene 1%가 주된 것이다. 지상 부분에는 scopoletin 및 scopolin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학), 祛風(거풍), 止痒(지양)의 효능이 있다. 暑滯(서체), 말라리아, 潮熱(조열-定時刻發熱(정시각발열)), 小兒痙攣(소아경련), 熱(열)로 인한 설사, 惡瘡(악창), 疥癬(개선)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⑵黃花蒿子(황화호자)
①약효 : 피로를 치료하며 下氣(하기), 開胃(개위), 止盜汗(지도한)의 효능이 있다.
②용법/용량 : 3-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개마쇠서나물 (0) | 2022.11.21 |
---|---|
[식물도감] 개마디풀 (0) | 2022.11.21 |
[식물도감] 개도둑놈의갈고리 (0) | 2022.11.21 |
[식물도감] 개대황 (1) | 2022.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