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개다래
영문명: Silver vine
과국명: 다래나무과
과명: Actinidiaceae
속국명: 다래나무속
속명: Actinidia
비추천명: 개다래나무,개다래덩굴,말다래,말다래나무,못좃다래나무,못좆다래나무,묵다래나무,쉬젓가래,쥐다래나무
정명학명: Actinidia polygama (Siebold & Zucc.) Planch. ex Maxim.
이명학명: Trochostigma volubilie Siebold & Zucc.
<상세정보>
가지
일년생가지는 어릴 때 연갈색 털이 있으며 간혹 가시 같은 억센 털이 있고 속은 백색이며 차 있다.
번식방법
종자를 정선하여 직파하거나 약간 습기가 있는 모래와 섞어 저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분포정보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 전국 분포.
꽃설명
꽃은 6~7월에 피고 흰색이며 지름 1.5cm로서 향기가 있고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한 화경에 1~3개씩 피고 화경은 길이 3~6cm로서 연한 갈색 털이 있다.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각각 5개씩으로 넓은 달걀형이며, 씨방에는 털이 없다.
열매설명
열매는 달걀형의 타원형이며 길이 2 ~ 3cm 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9월 말 ~ 10월 초에 노란색으로 익는다. 과육은 혓바닥을 찌르는듯한 맛이 있으며 달지 않다.
생육환경설명
양수 내지는 중용수로 노지에서 월동생육하고 활엽수림하의 부식질이 많은 전석지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과 내음성이 강하고 충분히 관수관리해 준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로 막질이며 넓은 달걀형 또는 달걀형의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8~14cm, 폭 3.5~8cm로서 표면 상반부 때로는 전체가 백색으로 되는 수도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맥액에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어릴때는 양면 맥 위에도 연한 갈색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에 털이 있다.
원산지
한국
뿌리설명
천근성이다.
형태
낙엽 활엽 덩굴성.
유사식물설명
▶섬다래(A.rufa Planchon): 잎과 엽병과,일년생가지와 열매에 갈색털이 있다.
▶쥐다래(A.kolomikta(Maxim.et Rupr.)Maxim.): 잎이 얇고 대부분 백색의 무늬를 가지며 줄기는 자갈색이고 열매가 가늘고 길게 익는다.
특징
줄기 윗부분의 잎이 하얀 것이 특징이다.
줄기설명
길이가 5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어릴 때 연갈색 털이 있으며 간혹 가시 같은 억센 털이 있고 속은 백색이며 차 있다.
크기설명
길이 5m.
사용법
▶과육은 혀바닥을 찌르는 듯한 맛이 있고 달지 않다.
▶도시 공원에 파골라를 만들어 머루,다래와 함께 올려 등나무처럼 가꾸면 멋있다.
▶열매와 가지,생엽은 고양이의 병을 고치는 데 쓰인다.
▶枝葉(지엽)은 木天蓼(목천료), 根(근)은 木天蓼根(목천료근), 충영이 있는 과실은 木天蓼子(목천료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木天蓼(목천료)
①성분 : 잎과 과실에는 각종의 cyclopentan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大風癩疾(대풍나질-Hansen氏병), 積(징적-腹中(복중)의 硬結(경결)), 氣痢風勞(기리풍로)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달이거나 粉末(분말)로 만들어 복용하거나 술을 빚어서 복용한다.
⑵木天蓼根(목천료근)
①약효 : 風蟲牙痛(풍충아통-치통)에는 丸劑(환제)를 만들어서 환부에 집어 넣기를 계속해서 4-5회 하되 액즙을 먹지 말아야 한다. 요통에는 목천료근 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木天蓼子(목천료자)
①약효 : 中風口面 斜(중풍구면괘사), 疝氣(산기-hernia), (현벽-腹中(복중)의 結塊(결괴)), 여자의 虛勞(허로-폐병), 모든 冷症(냉증)을 치료하며 몸을 따뜻하게 하고 腰痛疝痛(요통산통)의 치료에도 쓴다.
②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개당주나무 (0) | 2022.11.21 |
---|---|
[식물도감] 개담배 (0) | 2022.11.21 |
[식물도감] 개느삼 (0) | 2022.11.21 |
[식물도감] 개노박덩굴 (0) | 2022.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