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곤충도감

[곤충도감] 대만수염진딧물

시크릿파파곰 2023. 5. 17. 01:20
반응형

<기본정보>

국명: 대만수염진딧물

학명: Uroleucon (Uroleucon) formosanum (Takahashi, 1921)

목국명: 노린재목

과국명: 진딧물과

속국명: 흰끝수염진딧물속

목명: Hemiptera

과명: Aphididae

속명: Uroleucon


<상세정보>

일반특징

유시충 : 몸길이 3.04mm. 몸의 빛깔은 적갈색이며, 처리된 표본에서는 머리, 더듬이, 가슴, 다리의 넓적다리마디 끝반부, 종아리마디 끝부, 발목마디, 배의 옆무늬, 뿔관이 흑색이다. 머리에는 이마혹이 발달되어 있고 그 안쪽은 거의 직선이며 바깥쪽을 향하고, 여기에 끝이 뾰족하지 않은 3~4개의 센털이 있다. 더듬이는 6마디이고, 제3더듬이마디가 가장 길어서 제4.5더듬이마디를 합친 길이보다 훨씬 길며, 여기에 매우 돌출한 둥근 2차 감각기가 약 130개 흩어져 있다. 날개맥은 정상이고 배에는 옆무늬가 발달되어 있으며 뿔관 앞무늬와 뒷무늬도 뚜렷하다.

무시충 : 몸길이는 3.88mm. 몸의 빛깔과 모양이 유시충과 같지만 다음과 같은 점이 다르다. 제3더듬이마디에 약 80개의 2차 감각기가 있고, 가운데 가슴 속뼈에 자루가 있다. 배에는 옆무늬가 없고, 뿔관 앞무늬는 가늘며, 뿔관 뒷무늬는 약간 넓다. 제 6~8배마디등판에 각각 2,6,4개의 피부딱지가 있으며, 여기에 1개씩의 센털이 있다. 끝편은 거의 잘록하지 않고 끝부가 매우 가늘며 끝이 뾰족하고, 약 16개의 길거나 짧은 센털이 있다.


성충(수)

유시충과 비슷하지만 제3더듬이마디의 2차 감각기가 심하게 돌출하여 있지 않고 또한 그 수도 유시충에 비해 적다. 배에 피부딱지 이외에 옆무늬가 크게 발달되었다. 뿔관 앞무늬는 뚜렷하지만 좁은 편이고, 뿔관 뒷무늬는 매우 크다. 제7,8배마디등판에 각각 8, 4개의 센털이 있다.


성충(암)

무시충과 다른점은 뒷다리의 종아리마디 밑반부가 볼록하며, 끝부로 갈수록 차츰 가늘어지고, 200개 이상의 어리감각기가 있다.


생태

기록에 의하면 설악산, 양지, 서울, 소요산, 백양사, 울릉도, 지리산, 제주도, 대관령, 청주, 단양, 남양, 부천, 발안 등지에서 7월, 8월, 9월 11월 경에 발견된 것으로 되어있다.


출현시기설명

7,8,9,11


명명자명

(Takahashi)


종소명

formosanum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곤충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곤충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충도감] 대만어리코벌  (0) 2023.05.17
[곤충도감] 대만어리자루맵시벌  (0) 2023.05.17
[곤충도감] 대만수염나방  (0) 2023.05.14
[곤충도감] 대만송장풍뎅이  (0) 2023.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