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가시딸기

MinorMan 2022. 11. 7. 19:01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가시딸기

영문명: Hongno orange raspberry

과국명: 장미과

과명: Rosaceae

속국명: 산딸기속

속명: Rubus

비추천명: 가시딸,섬가시딸기

정명학명: Rubus hongnoensis Nakai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 특산(제주도)


노트

한반도 특산식물로 제주도 홍노(현재 서귀포 천지연폭포 부근으로 추정; Tae et al., 2009)라는 지역으로부터 채집되어 신종으로 발표되었다(Nakai, 1914). 이후 국내에서 본 분류군에 대한 실체가 모호했으나, Tae et al. (2009)에 의해 화서 및 줄기에 분포하는 가시의 형태학적 형질 등을 근거로 근연인 거지딸기(R. sumatranus) 및 검은딸기(R. croceacanthus)와는 명확히 구분되는 특산종임이 확인되었다.


원산지

한국


형태

생활형 낙엽성 소관목이며, 높이 50∼100cm 정도로 자란다. 줄기 원통형으로 거의 서서 자라며, 발생초기에는 털이 발달하지만 곧 사라지고, 드물게 가시가 성기게 달린다. 묵은 가지는 적갈색에서 갈색을 띠고, 직경은 2.4∼7.1mm이다. 1년생 가지는 녹색을 띠고, 직경은 1.5∼3.3mm이다. 가시의 길이는 약 0.9∼3mm이고, 곧거나 약간 구부러지며, 정단으로 가면서 점점 가늘어지고, 기부의 형태는 협타원형으로 급하게 넓어져 줄기와 부착된다. 잎 호생하며, 3∼11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홀수우상복엽이며, 화서에 달리는 잎은 3∼7장의 소엽을 지닌다. 엽병을 포함한 복엽의 전체적인 크기는 4.7∼8 × 3.3∼5.1cm이다. 탁엽은 엽병의 기부에 붙고, 크기는 6.2∼8.9 × 2.3∼3.2mm이며, 피침형 또는 난상피침형, 양면에 연한 털과 더불어 선점이 있고, 선단부는 예두, 가장자리는 전연이다. 엽병은 길이 0.7∼3.3cm로 엽축과 더불어 연한 털이 있고, 작은 가시가 성기게 달린다. 소엽은 난형, 난상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크기 1.2∼4.4 × 0.8∼2.5cm이며, 표면은 녹색, 털이 거의 없고, 선점이 있고, 이면은 밝은 녹색, 맥을 따라 연한 털이 성기게 있고, 표면과 더불어 선점이 발달한다. 소엽의 엽선은 예두, 점첨두, 또는 미두이고, 엽연은 복거치가 발달하며, 엽저는 의저, 둔저, 원저, 또는 심장저이다. 꽃 3∼5월에 피며, 1년생 가지에 1개 또는 드물게 2개의 양성화가 정생 또는 액생한다. 소화경은 길이 0.6∼2.8cm, 연한 털이 나고, 드물게 작은 가시가 섞여 난다. 포는 조락성으로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털과 더불어 선점이 있다. 꽃받침통은 녹색, 쟁반모양으로, 털과 더불어 선점이 있다. 꽃받침은 5개, 난상피침형이고, 크기는 11∼15.1 × 3.6∼4.9mm, 양면에 연한 털과 더불어 선점이 있으며, 결실기가 되면서 점점 뒤로 젖혀진다. 꽃받침의 선단부는 점첨두에서 꼬리 모양으로 뾰족해지며, 가장자리는 전연이다. 화피는 흰색으로, 5장이 3.2∼4.2cm의 직경으로 달리며, 화피편은 도란형 또는 아원형으로, 크기는 18.1∼21.5 × 15.2∼17.2mm, 선단부는 원두 또는 요두이며, 기부에는 화조(claw)가 발달한다. 수술은 다수이고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는 수술보다 짧으며, 암술대와 씨방에는 털이 없다. 열매 집합핵과이고, 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크기는 15.5∼17.8 × 13.3∼19.8mm이다. 표면은 매끈하고, 5∼6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타원체형 또는 광타원체형으로, 크기 1.3∼1.7 × 0.7∼1.1mm이고, 밝은 갈색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가시복분자딸기  (0) 2022.11.07
[식물도감] 가시박  (0) 2022.11.07
[식물도감] 가시도꼬마리  (0) 2022.11.07
[식물도감] 가시나무  (129) 2022.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