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피마자
영문명: Wond
과국명: 대극과
과명: Euphorbiaceae
속국명: 피마자속
속명: Ricinus
비추천명: 아주까리
정명학명: Ricinus communis L.
<상세정보>
번식방법
실생으로 번식한다.
분포정보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재배한다.
꽃설명
8-9월에 원줄기 끝에 길이 20cm정도의 총상꽃차례가 달리고 꽃은 일가화로 연한 황색, 연한 홍색이며 수꽃은 밑부분에 달리며 수술대가 잘게 갈라지고 막질이며 꽃밥이 있고 화피열편은 5개이다. 암꽃은 윗부분에 모여 달리고 5개의 화피열편과 1개의 씨방이 있으며 털이 있고 3실이며 3개의 암술대가 끝에서 다시 2개로 갈라진다.
열매설명
열매는 삭과로 3실이고 대개 겉에 가시가 나며 각 실에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다. 종자는 타원형으로서 밋밋하며 암갈색 반점이 있고 ricinin 이 들어 있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방패같고 지름 30-100cm로서 장상으로 5-11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표면은 녹색 또는 갈색이 돌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원산지
인도, 소아시아와 북아프리카 원산.
형태
1년생 초본(원산지에서는 나무처럼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특징
열대 지방인 베트남과 브라질 등지에서 다년생의 목본형임이 확인되었다.
줄기설명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가 나무처럼 갈라지고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다.
크기설명
높이 2m.
사용법
▶종자는 포마드, 인주, 공업용, 윤활유용으로 쓰인다.
▶종자는 피마자, 뿌리는 피마근, 잎은 피마엽, 종자에서 짠 기름은 피마유라 하며 약용한다.
⑴피마자 - ①가을에 과실이 갈색이 되고 과피가 아직 開裂(개열)되지 않은 것을 차례로 따서 햇볕에 말려 과피를 제거한다. ②성분 : 종자에는 脂肪油(지방유) 40-40%가 함유되어 있고 기름을 짜낸 油粕(유박)에는 alkaloid인 ricinine, 有毒蛋白(유독단백) ricin 및 lipaserk 함유되어 있고 종자에서 추출되는 ricin은 ricinD, 酸性(산성) ricin, 鹽基性(염기성) ricin의 3종이다. ③약효 : 消腫(소종), 拔毒(발독), 瀉下(사하), 通滯(통체)의 효능이 있다. 癰疽腫毒(옹저종독), 나력, 喉痺(후비-편도선염 Angina), 疹癬癩瘡(진선나창), 水腫腹滿(수종복만), 大便燥結(대변조결)을 치료한다.
⑵(피마근) - ①성분 : 뿌리에는 trans-2-decen-4, 6,8-triyne酸(산) methyl ester, 1-tridecen-3,5,7,9,11-pentyne, β-sitro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鎭靜解痙(진정해경), 祛風散瘀(거풍산어)의 효능이 있다. 파상풍, 癲癎(전간), 류머티즘 疼痛(동통), 나력을 치료한다.
⑶(피마엽) - ①성분 : 잎에는 kaempferol-3-rutinoside, isoquercitrin, rutin, kaempferol quercetin, astragalin, reynoutrin이 함유되어 있고 또 ricnine, 비타민C 275mg%를 함유한다. 잎의 乳脂肪酸(유지방산)의 조성은 共役二重結合(공역이중결합)을 가진 脂肪酸(지방산) 12.25%이고 그 중 linoleic acid 7.25%, β-eleostearic acid 8.0%, linolenic acid 12.25%, oleic acid 44.10% 및 飽和脂肪酸(포화지방산) 13%이다. ②약효 : 脚氣(각기), 陰囊腫痛(음낭종통), 咳嗽痰喘(해수담천), 鵝掌風(아장풍), 瘡癤(창절)을 치료한다.
⑷(피마유) - ①성분 : 피마유의 지방산의 조성은 ricinoleic acid가 약 89%, 그 외에 palmitic acid, stearic acid, lonoleic acid, linolenic acid, hydroxystearic acid가 함유되었다. glyceride의 조성은 triricinolein 68.2%, diricinolein 약 28%, monoricinolein 29% 및 ricinoleic acid 이외의 지방산 glyceride 0.9%이다. ②약효 : 大便燥結(대변조결), 瘡疥(창개), 화상을 치료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피뿌리풀 (0) | 2023.04.07 |
---|---|
[식물도감] 피막이 (0) | 2023.04.07 |
[식물도감] 피나물 (0) | 2023.04.07 |
[식물도감] 피나무 (0)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