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풀명자

MinorMan 2023. 4. 6. 02:46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풀명자

영문명: Maule’s quince

과국명: 장미과

과명: Rosaceae

속국명: 명자나무속

속명: Chaenomeles

비추천명: 가시덕이,명자나무,애기씨꽃나무,청자,풀명자나무

정명학명: Chaenomeles japonica (Thunb.) Lindl. ex Spach

이명학명: Cydonia japonica (Thunb.) Pers. var. lagenaria Makino


<상세정보>

가지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한 것도 있다.


번식방법

실생, 삽목, 분주에 의해 번식한다.


병충해정보

▶병충해 : 점무늬병, 갈색무늬병, 진딧물.


분포정보

일본, 중국; 전국 식재.


꽃설명

암수한꽃으로서, 3월 ~ 5월에 개화하고, 지름은 2.5 ~ 3.5cm이고, 붉은색이다. 꽃받침은 짧으며 종형 또는 통형으로, 5개이며, 열편은 원두이다. 꽃잎은 원형으로, 거꿀달걀형 또는 타원형이며, 밑 부분은 뾰족하다. 수술은 30 ~ 50개이고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설명

열매는 이과로 둥글고 지름 2~3cm로서 9 ~ 10월에 황색으로 성숙하며 신맛이 강하다.


생육환경설명

양지와 반음지 모두에서 잘 자라고 사양토 또는 식양토로 적당한 수분이 있고 내한성이 있으며 배수가 잘되는 비옥한 곳이 적합하다.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도 강하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예저이며 길이4 ~ 8cm, 폭 1.5 ~ 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명자나무는 예거치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3~10mm로 짧고 턱잎은 달걀꼴 또는 피침형이며 조락성이다.


원산지

일본 원산.


수피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형태

낙엽 활엽 관목.


유사식물설명

▶명자꽃(C. lagenaria) : 중국 원산, 낙엽 관목으로 수고는 2m 가량된다. 4월에 매화 모양의 꽃이 피고 가을에는 황녹색의 열매가 달린다. 열매는 길이 10cm, 폭 7cm의 긴타원모양이다.


특징

맹아력이 강하고 생육이 왕성하다.


줄기설명

줄기 밑부분이 흔히 반 정도 눕고 대부분의 가지끝이 가시로 변하며 일년생가지에는 털이 있다.


크기설명

높이 1m.


사용법

▶관상용으로 식재하며 장식용으로 사용하거나 과실주를 담근다.

▶맹아력이 강하여 수형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고 생울타리로 적격이다.

▶명자꽃, 풀명자의 과실은 모과(木果), 根(근)은 모과근(木果根), 枝葉(지엽)은 모과지(木果枝), 종자는 모과핵(木果核)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모과(木果)

①9-10월에 과실이 익은 것을 따서 끓는 물에 5-10분간 삶아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Saponin,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비타민C, flavonoid, tannin이 함유되었고 종자에는 cyan化水素酸(화수소산)이 들어 있다.

③약효 : 平肝(평간), 和胃(화위), 祛濕(거습), 舒筋(서근)의 효능이 있다. 구토, 下痢(하리), 근육경련, 류머티성 마비, 脚氣(각기), 水腫(수종), 이질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熏洗(훈세)한다.

⑵모과근(木果根) - 脚氣(각기)를 치료한다. 뿌리, 잎을 삶은 물로 정강이를 따뜻하게 적셔 주면 앉을 수 있게 된다. 風濕痲木(풍습마목)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⑶모과지(木果枝) - 濕痺邪氣(습비사기-관절통, 각기의 邪氣(사기)), 곽란 大吐下(대토하-胃腹(위복)katarrh에 의한 심한 구토, 下痢(하리)), 轉筋(전근)을 치료한다.

⑷모과핵(木果核) - 곽란 煩燥氣急(번조기급)에 1回(회) 7粒(립)씩 白湯(백탕)으로 같이 씹어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풀솜나물  (0) 2023.04.06
[식물도감] 풀산딸나무  (0) 2023.04.06
[식물도감] 풀또기  (0) 2023.04.06
[식물도감] 풀고사리  (0) 202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