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테에다소나무

MinorMan 2023. 4. 4. 03:33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테에다소나무

과국명: 소나무과

과명: Pinaceae

속국명: 소나무속

속명: Pinus

비추천명: 테다소나무

정명학명: Pinus taeda L.

이명학명: Pinus lutea Walter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리기다소나무와 마찬가지로 기건저장을 하였다가 침수처리를 한 뒤에 파종한다.


분포정보

남부지방에 식재


꽃설명

개화기는 5월, 암수한그루, 수꽃의 길이는 8.2~25.1mm이며, 수꽃이 성장하는 다음 해에 암꽃이 성장한다. 화분은 크기가 50~60㎛ 정도이고, 기낭이 있다. 화분체의 표면은 약간 과립상이고, 요철형으로 나타난다.


열매설명

대가 없는 원추상 난형이며, 길이는 64.5~112.9mm, 너비는 36.8~58.0mm이다. 윤채가 없고, 연한 적갈색이며, 실편의 비후부는 능선이 지고, 배꼽부에 가시가 있다. 길이는 16.7~24.0mm, 너비는 10.6~11.4mm이다. 종자는 난형이고, 길이는 4.2~4.5mm, 너비는 3.1~3.4mm이며, 날개는 길이 13.5~16.0mm, 너비 5.9~6.7mm이다. 결실기는 다음해 10월이다.


생육환경설명

해발 700m 이하의 중습성 저지대 또는 건조한 고지대


잎설명

바늘형이며, 밝은 녹색이고, 3장씩 모여 나며, 길이는 75.2~212.3(300)mm, 너비는 1.0~1.5mm이다. 횡단면은 부채꼴형이고, 양쪽 선단이 약간 날카롭다. 유관속은 2개이며, 한 줄의 유관속초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수지구는 좌우 엽육 중앙에 1개씩 발달하고, 하피는 후벽세포로 발달한다. 잎가장자리의 톱니는 약간 둔하게 발달한다. 기공은 배축면과 향축면 전체에 발달하며, 향축면에 5개 정도의 기공선이 있고, 부세포는 돌출되지 않는다.


원산지

미국 남부 원산.


수피

암회색이고, 조각으로 갈라진다. 잔가지는 황갈색이지만 때로는 흰빛이 돈다.


형태

상록 교목이며, 높이가 30m 이상 자란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고 윗부분의 가지가 비스듬히 서기 때문에 둥근 수관을 형성한다.


특징

테에다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의 잡종으로 리기테다소나무(Pinus rigitaeda S.K. Hyun & Ahn)가 있다. 테에다소나무는 목재가 곧고 생장속도가 빠른 반면 추위에 약하고, 비옥한 땅에서만 자라는 단점이 있다. 리기다소나무는 척박한 땅과 추위에 강한 반면 목재가 곧지 못하고, 생장속도가 느리다. 이를 보완하고자 국내의 현신규 박사가 1950년 초 두 종을 교잡하여 장점만 있는 리기테다소나무를 개발했으며, 남부지역에 널리 보급해 식재되고 있다.


크기설명

높이 30m, 지름 1m정도로 자란다.


사용법

▶조림수종으로 적합한다.

▶목재는 건축재 등으로 쓰인다.

▶정원수로도 이용된다.


목재설명

춘재와 추재의 이행이 비교적 완만하고, 연륜의 구분이 불분명하다. 수직수지구와 수평수지구는 비교적 크며, 단독으로 배열한다. 수지세포가 드문드문 관찰된다. 가도관의 유연벽공은 대부분 1열이다. 방사조직은 단열이고, 높이는 1~8세포로 짧은 편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토끼풀  (0) 2023.04.04
[식물도감] 토끼고사리  (0) 2023.04.04
[식물도감] 털화살나무  (0) 2023.04.04
[식물도감] 털현호색  (0) 2023.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