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털갈매나무
영문명: Korean buckthorn
과국명: 갈매나무과
과명: Rhamnaceae
속국명: 갈매나무속
속명: Rhamnus
정명학명: Rhamnus koraiensis C.K.Schneid.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분포정보
중국 동북부, 북부, 몽골, 러시아 아무르 등 / 전국 각처에 난다.
꽃설명
꽃은 이가화로서 황록색이고 짧은 가지의 끝 부근 또는 긴 가지 기부의 잎겨드랑이에 1-3개가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3-7mm로서 털이 있다. 수꽃의 암술은 퇴화되어 작고 암꽃은 씨방은 2-3실로서 둥글며 암술대가 2-3개로 갈라진다. 5~6월에 개화
열매설명
열매는 핵과로 원형 또는 난상 구형이고 1-3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8~9월에 흑색으로 익고 소과경은 길이 3-10mm이다.
생육환경설명
습한 곳이나 계곡부에 나며 광선을 좋아하고 추위에는 강하나 공해에 약하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 또는 어긋나기하며 원형 또는 달걀모양이고 급한 첨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4-7cm, 나비 4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약간 안으로 꼬부라진 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털이 있다.
원산지
한국
형태
낙엽활엽관목
유사식물설명
▶참갈매나무(var. nipponica Makino): 잎이 3-16cm, 나비 2.5cm이고 양면이 거의 같은 색이며 뒷면의 주맥이 뚜렷하고 엽병의 길이가 10-25mm이며 열매의 지름이 7mm이고 종자에 깊은 홈이 있다.
특징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줄기설명
높이가 2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황갈색이며 잔털이 있고 끝이 흔히 가시로 된다.
크기설명
높이 2m 정도
사용법
▶나무껍질과 열매에 황색 색소가 있어 염료용으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열매를 이뇨제로 쓴다.
▶가지에 나는 일년생가지가 가시모양으로 되기 때문에 생울타리용으로 식재하기도 한다.
▶과실을 鼠李(서리), 根을 鼠李根(서리근), 나무껍질은 鼠李皮(서리피)라고 하며 약용한다.
⑴鼠李(서리)
①8-9월에 성숙한 과실을 채취하여 과병을 제거하고 焙乾(배건)한다.
②성분 : 과실에는 emodin(rheum emodin), chrysophanol, anthranol, kaempferol을 함유하고, 종자는 多種의 rhamnodiastase가 함유되어 있고, 나무껍질에는 emodin, aloe-emodin, chrysophanol과 多種의 anthraquinone 類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利濕(이습), 消積(소적), 殺蟲(살충)의 효능이 있다. 消腫腹腸(소종복장), 산하, 나력, 疥癬(개선), 치통을 다스린다.
④용법/용량 : 6-9g을 달여 복용한다. 粉末(분말), 膏劑(고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塗布(도포)한다.
⑵鼠李根(서리근)
①약효 : 삶아서 濃汁(농즙)을 입에 머금고 있으며 충치를 다스리게 된다. 또는 疳蟲(감충)으로 脊骨(척골)이 浸蝕(침식)될 때 달인 농즙을 복용하면 좋다.
⑶鼠李皮(서리피)
①약효 : 風痺(풍비), 熱毒(열독)과 諸瘡(제창)의 寒熱(한열), 毒痺(독비)를 다스린다.
②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을 바르거나 졸여서 膏劑(고제)로 만들어 塗布(도포)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털개구리미나리 (0) | 2023.04.01 |
---|---|
[식물도감] 털개관중 (0) | 2023.04.01 |
[식물도감] 털가침박달 (0) | 2023.03.31 |
[식물도감] 터리풀 (0) | 2023.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