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콩짜개덩굴

MinorMan 2023. 3. 26. 02:03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콩짜개덩굴

영문명: Green bean fern

과국명: 고란초과

과명: Polypodiaceae

속국명: 콩짜개덩굴속

속명: Lemmaphyllum

비추천명: 콩조각고사리,콩짜개고사리

정명학명: Lemmaphyllum microphyllum C.Presl

이명학명: Drymoglossum spatulatum C.Presl


<상세정보>

번식방법

▶잎이 붙어있는 근경을 적당히 잘라 분주하면 증식이 잘 된다.


분포정보

일본, 중국, 대만


생육환경설명

바위 위나 나무


잎 엽병

영양엽의 것이 길이 1-7mm, 포자엽의 것이 6-17mm이다.


잎 엽신

영양엽의 엽신은 원형 또는 광타원형으로 길이 10-20mm, 혁질로 두껍고 녹색 무모이며 전연이다. 포자엽은 넓은 선형으로 길이 12-32mm, 너비 2-4mm로 끝이 원두이며 기부는 점차 좁아져서 잎자루에 이른다.


원산지

한국


생육상 구분

상록성이다.


유사식물설명

▶콩짜개란(Bulbophyllum drymoglossum)


포자 포자낭군

중륵의 양쪽에 선형으로 붙고, 익으면 잎 뒷면 전체를 덮는다. 포막은 없다.


줄기 근경

길게 뻗고 지름 0.6-1.6mm로 가늘고 성기게 잎이 달리며 인편은 길이 1.2-1.8mm로 갈색이고 막질이며 기부는 원형이나 윗부분은 좁아진다.


사용법

▶되목 또는 수석에 착생시켜 재배하면 관상가치가 매우 높다. 실내정원에서 바위에 착생시켜도 좋다.

▶전초 또는 根이 달린 전초가 지련전(地連錢)이며 생약으로 이용한다.

ⓐ콩짜개덩굴의 전초 또는 뿌리가 달린 전초로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며 햇볕에 말린다.

ⓑ성분: 전초는 pterosterone, ecdysone, ecdysterone, lemmasterone 을 함유하고 있다.

ⓒ약효: 淸肺(청폐), 止咳(지해), 凉血(양혈), 解毒(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폐옹(肺癰), 해수(咳嗽)시 출혈, 토혈(吐血), 혈뇨, 옹종(癰腫), 개라(盖癩), 타박상, 풍화치통을 치료하며 온열병, 이질(痢疾), 심기통(心氣痛), 월경불순 등을 치료한다.

ⓓ용량/용법 ①10-18g(신선한 것이면 60-12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 낸 즙을 마신다. ②외용-짓찧어서 바르거나 가루를 고루 산포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콩팥노루발  (0) 2023.03.26
[식물도감] 콩짜개란  (0) 2023.03.26
[식물도감] 콩제비꽃  (0) 2023.03.26
[식물도감] 콩버들  (0) 2023.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