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칡
영문명: East Asian arrow root
과국명: 콩과
과명: Fabaceae
속국명: 칡속
속명: Pueraria
비추천명: 칙,칙덤불
정명학명: Pueraria lobata (Willd.) Ohwi
이명학명: Pueraria argyi H.Lév. & Vaniot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분주법, 종자재배법, 종내 잡목법, 삽목법 등으로 이루어지지만 대개는 삽목법에 의하여 번식되고 있다. 포기나누기를 하거나 꺾꽂이로 하며, 종자는 기건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 파종 전에 열탕처리하여 사용한다.
▶종자를 노천매장하였다가 뿌리거나 파종전 37℃의 온탕에 20시간정도 침적한 후에 뿌리기도 한다. 진한 황산에 5분간 담구었다가 뿌리기도 하며 모래와 섞어 절구에 넣어 씨껍질에 상처를 낸 후에 파종하기도 한다.
▶3-4월경에 가지삽목 또는 휘묻이를 5월경에 하기도 한다.
분포정보
말레이시아, 인도,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 전국 산야.
꽃설명
꽃은 8월에 개화하고 홍자색으로 길이는 18 ~ 25mm로 총상꽃차례는 곧추서며 길이 10 ~ 25cm이다. 포는 선형이고 긴 털이 있으며 꽃받침은 가운데까지 갈라진다.
열매설명
협과는 넓은 선형으로 편평하고, 길이와 폭이 각 4 ~ 9cm × 8 ~10mm로, 굳은 갈색의 퍼진 털이 있으며, 종자는 갈색으로 9 ~ 10월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산기슭 양지쪽에 나며 햇볕을 잘 받는 곳이면 어느 곳에서나 잘 생육한다.
잎설명
잎은 3출엽으로 소엽은 마름모모양이며, 길이와 폭이 각 10 ~ 15cm × 10 ~ 15cm로,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게 3갈래로 갈라지며, 잎자루 길이는 10 ~ 20cm로 털이 있고, 턱잎은 피침형으로 중앙 부근에 붙어있으며 길이가 15 ~ 20mm이다.
수피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갈색 또는 백색의 퍼진 털과 구부러진 털이 있고 아랫부분은 목질화 했다.
보호방안
▶황폐지 및 절토면 피복을 위하여 많이 심고 있으나 산복부와 산간계곡부에서는 사람들이 채취를 하지 않으므로 자연번성하여 조림목 및 유용수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많아 오늘날에는 문제식물로 등장하고 있다.
뿌리설명
2~3m, 지름 20~30cm나 되는 것도 있으며 땅 속에서 옆으로 뻗고 섬유질로서 회백색을 띠며 녹말을 저장한다.
형태
낙엽 활엽 덩굴성.
특징
뿌리를 갈근(葛根)이라 하고,특히 1차 천이식생으로 황폐척악지에 침입하여 번성한다.
줄기설명
길게 자라지만 끝부분이 겨울 동안에 말라 죽으며 줄기는 흑갈색으로 갈색 또는 백색의 퍼진 털과 구부러진 털이 있다. 아랫부분은 목질화해서 가지가 잘 갈라진다. 오래된 것은 줄기의 직경이 10㎝나 되는 것도 있으며 지면이나 다른 나무를 대게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크기설명
길이 10m 이상, 지름 20cm.
사용법
▶생육이 왕성하기 때문에 경사지나 황폐지에 식재하여 토양침식을 방지한다. 그러나 주위 식물을 감아올라가 생육을 저해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칡전분은 제과원료, 제약정제의 결합제로 쓰인다.
▶잎은 차의 대용으로 쓰이나 사료로도 쓰인다.
▶줄기는 새끼 대신 쓰며 껍질로는 갈포를 만든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칡은 녹색을 얻을 수 있는 염료 식물이다. 잎에서 염료를 추출하는데 0.1%의 탄산칼륨 액에 넣어서 끓여 염액을 얻는다.
▶칡의 각 부분을 약용한다. ⑴葛根(갈근) - ①덩이뿌리는 갈근이라 하며, 봄, 가을에 뿌리를 캐어 외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갈근에는 isoflavone 성분의 puerarin, puerarin xyloside, daidzein, β-sitosterol, arackin산(酸) 또는 다량의 전분(신선한 갈근에는 19-20%)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發汗(발한), 해열, 鎭痙(진경), 解飢(해기), 透疹(투진), 止渴(지갈), 止瀉(지사), 升陽(승양)의 효능이 있다. 傷寒(상한)에 의한 溫熱頭痛(온열두통)으로 목덜미가 굳어지는 것, 煩熱(번열)에 따른 消渴(소갈), 泄瀉(설사), 이질, 반진불투), 고혈압, 心絞痛(심교통-협심증), 難聽(난청)을 치료한다. ⑵葛蔓(갈만) - 칡의 덩굴로, 癰腫(옹종), 喉痺(후비)를 치료한다. ⑶葛葉(갈엽) - 잎에는 robinin 0.17-0.35%가 함유되어 있다. 切傷出血(절상출혈)에 갈엽을 비벼서 부드럽게 하여 붙인다. ⑷葛花(갈화) - 8월 상순 무력, 꽃이 만개하기 전에 따서 경엽(莖葉)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酒毒(주독)을 풀어 술을 깨게 하는 효능이 있다. 傷酒(상주)에 의한 發熱(발열), 煩渴(번갈), 惡心(악심), 식욕부진, 嘔逆吐酸(구역토산), 吐血(토혈), 內痔(내치) 및 腸風下血(장풍하혈)을 치료한다. ⑸葛穀(갈곡) - 종자를 갈곡이라 하며, 酒毒(주독)을 풀어주고 補心(보심), 淸肺(청폐)하는 효능이 있고 下痢(하리)를 치료한다. ⑹葛粉(갈분) - 칡의 덩이뿌리를 물로 갈아서 맑은 웃물을 제거한 다음 침전물을 건조한 가루이다. 生津(생진), 止渴(지갈), 淸熱(청열), 除煩(제번)의 효능이 있다. 煩熱(번열), 口渴(구갈), 熱瘡(열창), 喉痺(후비) 등을 치료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카나리새풀 (0) | 2023.03.26 |
---|---|
[식물도감] 카나다엉겅퀴 (0) | 2023.03.26 |
[식물도감] 칠엽수 (0) | 2023.03.26 |
[식물도감] 칠보치마 (0)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