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치자나무
과국명: 꼭두서니과
과명: Rubiaceae
속국명: 치자나무속
속명: Gardenia
비추천명: 겹치자나무,좀치자,치자
정명학명: Gardenia jasminoides J.Ellis
이명학명: Gardenia jasminoides f. grandiflora (Lour.) Makino
<상세정보>
방제방법
▶반점병: 봄에 보르드액을 뿌려 예방한다.
▶개각충, 면충: 포살하든가 메타시스독스를 뿌려 구충한다.
▶모충류: 치자의 치명적인 해충으로 잎과 꽃봉오리 등을 닥치는대로 갉아먹는 모충류는 아침 일찍 포살하든가 디프테렉스를 뿌려 구제한다.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삽목으로 한다.
①실생 : 열매 치자는 종자가 익은 가을에 따서 뿌리든가 봄에 파종해도 좋다.
②삽목 : ⓐ주로 겹꽃 종류에 많이 이용되며 6-7월경 꽃이 진 후 새 가지가 다소 굳은 다음에 한다. 온실이 있으면 봄과 가을에도 할 수 있다.
ⓑ삽수는 끝눈 부분을 4-5마디씩 잘라 밑쪽 2마디의 잎을 따고 나머지 잎은 반 정도 잘라 버린후 물에 담가 1-2시간 물을 올린다.
ⓒ발근 부위에 발근제를 바른 후 진흙 경단을 붙여 여름에는 굵은 모래에 꽂고, 봄 가을에는 가는 모래에 꽂으면 된다.
ⓓ꽂은 후 충분히 관수하고 반그늘에서 관리한다.
ⓔ활착률은 비교적 좋은 편이며 노지삽일 때는 다음해 봄까지 그 자리에 두고 엷은 액비를 주어 비배 하였다가 4월에 넓혀 심는다.(남부지방의 경우)
병충해정보
▶반점병: 잎에 검은 반점이 생긴다.
▶해충의 피해가 있다.
분포정보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남부지방에서 재배.
재배특성
▶적지 : 직사광선이 강한 곳에서는 발육이 좋지 않으므로 반그늘진 곳이 좋으며 화분에 심었을 때도 발을 쳐서 차광하여 재배한다. 토질은 별로 가리지 않으나 습한 땅이 좋다.
▶이식 : 이식 적기는 장마 때로서 새로 나온 가지가 굳은 때면 이식할 수 있다. 꺾꽂이한 모종일 때는 뿌리에 붙은 진흙 경단을 떼어 버리고 심는다. 분화초의 분바꾸기는 3-4월이 적당하다.
꽃설명
유백색의 꽃이 피며 독특한 향기를 풍기는 매력있는 화목이다. 원예종에는 겹꽃이 있어 더욱 화려하지만 결실하지 않는다. 꽃은 6 ~ 7월에 피며 꽃받침은 능각이 있고 끝이 6~7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가늘고 길다. 꽃부리는 백색이며 열편은 6 ~ 7개로서 긴 거꿀달걀모양이고 둔두이며 수술은 6 ~ 7개이고 후부(喉部)에 달린다.
열매설명
열매는 꽃받침과 더불어 길이 3.5㎝로서 긴타원모양이며 세로로 6 ~ 7개의 능각이 있다. 열매가 달리는 것은 홑겹치자이며 9월에 주황색으로 익으며 황금색 염료를 갖는다.
생육환경설명
직사광선이 강한 곳에서는 발육이 좋지 않으므로 반그늘진 곳이 좋으며 화분에 심었을 때도 발을 쳐서 차광하여 재배한다. 내한성이 약하여 토심이 깊고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양호하며 충분한 햇볕을 받아야 개화와 결실이 잘되고 공해에 강하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잎자루가 짧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 ~ 15cm로, 표면에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원산지
중국 원산
형태
상록 활엽 관목.
유사식물설명
▶꽃치자(var. radicans Makino) : 높이 60cm로 잎은 거꿀피침모양, 길이4-8cm, 치자보다 잎과 꽃이 작고 홑꽃 또는 겹꽃이다
특징
1,500년 전경에 중국에서 도입하여 남부에서는 정원수로 심으나, 중부 이북에서는 밖에서 월동이 어려우므로 주로 분화초로 가꾼다. 많은 줄기와 가지를 내어 큰 포기를 만들고 생장은 다소 빠른 편이다.
줄기설명
일년생가지는 어릴 때 먼지 같은 털이 있음.
크기설명
높이 3m.
사용법
▶정원수로 가정, 학교, 공원, 병원 등에 심는다. 홑겹치자는 수국이나 서향과 혼식하는 편이 좋다. 서구에서는 겹꽃을 절화로 코사아지를 즐겨 만들어 쓰며 이것은 하나의 산업화가 되어 있을 정도이다.
▶치자 열매는 식품 염료로도 귀중하다.
▶꽃은 향기로와 화전이나 생식도 하며 데쳐서 샐러드에도 쓸 수 있다. 또 이 향기에서 향료를 뽑는다.
▶치자나무/꽃치자의 과실은 梔子(치자), 뿌리는 梔子花根(치자화근), 잎은 梔子葉(치자엽), 꽃은 梔子花(치자화)라 하며 약용한다.
⑴梔子(치자) - ①10월경 익은 과실을 따서 과병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서 말린다. ②성분 : Flavonoid의 gardenin, pectin, tannin, crocin, crocetin, d-mannitol, nonacosane, β-sitosterol 이외에 여러 종류의 iridoide 골격의 배당체 즉 gardenoside, geniposide, genipin-1-β-d-gentiobioside 및 소량의 shanzhiside를 함유하고 또 gardoside, scandoside methyl ester, choline 및 ursolic acid가 들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瀉火(사화), 凉血(양혈)의 효능이 있다. 熱病(열병), 虛煩(허번-器質的(기질적)인 변화는 없이 괴로움을 느끼는 증상), 不眠(불면), 황달, 淋病(임병), 消渴(소갈-多飮多尿(다음다뇨)하는 증상), 결막염,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痢(혈리), 血尿(혈뇨), 熱毒(열독), 瘡瘍(창양), 挫傷痛(좌상통)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마시거나 또는 丸劑(환제)나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하여 조합하여 붙인다.
⑵梔子花根(치자화근) - ①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 感冒高熱(감모고열), 황달형간염,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菌痢(균리), 淋病(임병), 腎炎水腫(신염수종), 瘡癰腫毒(창옹종독)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⑶梔子葉(치자엽) - ①성분 : 葉(엽), 葉柄(엽병)에는 gardenoside, geniposide를 함유한다. ②약효 : 腫(종)을 삭히고 타박상을 치료한다. (감치정)을 씻으며, 鷄肉(계육)과 삶아 먹으면 瘡毒(창독)을 흩어지게 하며 風(풍)도 제거한다.
⑷梔子花(치자화) -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淸肺(청폐), 凉血(양혈)의 효능이 있다. 肺熱咳嗽(폐열해수), 鼻出血(비출혈)을 치료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칠면초 (0) | 2023.03.26 |
---|---|
[식물도감] 치커리 (0) | 2023.03.26 |
[식물도감] 층층장구채 (0) | 2023.03.25 |
[식물도감] 층층잔대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