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청가시덩굴

MinorMan 2023. 3. 23. 13:41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청가시덩굴

영문명: Siebold’s greenbrier

과국명: 백합과

과명: Liliaceae

속국명: 청미래덩굴속

속명: Smilax

비추천명: 종가시나무,청가시나무,청가시덤불,청경개까시나무,청미래,청밀개덤불,청열매덤불

정명학명: Smilax sieboldii Miq.

이명학명: Smilax formosana (Hayata) Hayata


<상세정보>

번식방법

▶실생 및 분주로 번식한다.

1.실생 :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파종하기도 한다.

2.분주 : 번식방법은 뿌리 맹아를 포기나누기하면 쉽게 묘목을 얻을 수 있다.


분포정보

전국 산야에 자생한다.


꽃설명

꽃은 이가화(암수딴그루)서 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길이 2~3mm로서 넓은 종같으며 잎겨드랑이에 우산모양꽃차례로 달리고 꽃대는 길이 15m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타원형이며 다소 육질이고 길이 2~3mm이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설명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7~9mm로 9~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추위에 강하고 양지와 음지를 다 좋아하며, 맹아력이 좋아 무수한 줄기가 뻗어 올라온다. 건조한 곳에서는 생육이 불량하고 비옥한 곳을 좋아하며 석회암지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난상 타원형, 난상 심장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5~14cm, 폭 3~9cm로서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약간 심장저이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밑부분에서 나온 5~7맥이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중앙부에 탁엽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있다.


해외분포

중국, 일본, 타이완


생육형

낙엽활엽의 덩굴성 목본


유사식물설명

▶민청가시덩굴(var. inermis Nak.) : 원줄기에 가시가 없다.


줄기설명

길이가 5m에 달하며 원줄기는 녹색이고 능선과 곧은 가시가 있으며 가지는 녹색으로서 흑색 반점이 있고 털이 없다.


크기설명

길이 5m


사용법

▶봄에 새순과 어린 잎은 나물로 식용한다.

▶관상용으로도 이용되며 철조망 울타리 같은 곳에 식재하여 생울타리를 만들면 경관이 아름답다.

▶根莖(근경)과 根(근)을 粘魚鬚(점어수)라 하며 약용한다.

①연중 채취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봄, 가을 2회 根部(근부)를 캐어 비늘잎을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한다. 협잡물을 제거하고 물에 담궈 부드럽게 되면 根頭(근두)를 떼어 내고 잘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근경에는 saponin, tannin, 樹脂(수지) 및 대량의 전분이 함유되어 있고 莖(경)에는 tiogenin, neotigogen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風邪(거풍사), 活血(활혈),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風濕(풍습), 筋骨疼痛(근골동통), 정창, 腫毒(종독)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나 散劑(산제)로 쓴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가루 내어 고루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청까마귀머루  (0) 2023.03.23
[식물도감] 청괴불나무  (0) 2023.03.23
[식물도감] 철쭉  (0) 2023.03.23
[식물도감] 천지백  (0)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