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천궁

MinorMan 2023. 3. 23. 13:15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천궁

과국명: 산형과

과명: Apiaceae

속국명: 기름당귀속

속명: Ligusticum

정명학명: Ligusticum officinale (Makino) Kitag.

이명학명: Cnidium officinale Makino


<상세정보>

방제방법

▶뿌리썩음병: 어린뿌리는 우스푸린 소독을 철저히 하고 6월 상순부터 8월까지 4회 정도 보르도액을 뿌려 주면 효과적이다. 특히 배수가 잘 되게 하고 여름에는 뿌리근처에 직사광선이 쬐이지 않도록 짚이나 건초를 깔아 주면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번식방법

꽃이 피기는 하나 결실하지 않으므로 뿌리를 나누어서 번식시킨다. 씨뿌리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노두(盧頭)와 잔뿌리를 어린뿌리로 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노두(盧頭): 9월경에 뿌리에 흙을 모아두면 흙에 묻힌 마디에서 손에 가락지를 끼운 것 같은 노두가 뿌리와 별도로 생기므로 이것을 따 두었다가 씨뿌리로 하는 것이다.

▶잔뿌리를 씨뿌리로 하는 방법: 가을 수확시에 잔뿌리를 골라서 그대로 씨뿌리로 하는데, 큰 뿌리는 눈을 하나씩 붙여서 감자씨 오리듯이 쪼개서 나무재를 묻혀 씨뿌리로 한다. 재를 묻히는 이유는 감자와 같이 병충해의 침입과 수분의 증산작용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병충해정보

▶붉은빛마름병 : 마른 땅이나 또는 볕이 너무 많이 드는 땅에서는 여름의 가뭄이 심할 때 특히 삼복때 햇볕이 강하면 속칭 불맞는 병 즉 잎과 줄기가 붉어지고 심할 때는 줄기와 잎이 말라 죽는 병이다.

▶뿌리썩음병


분포정보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재배특성

천궁은 꽃이 피기는 하나 결실하지 않으므로 뿌리를 나누어서 번식시킨다. 씨뿌리기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노두라하여 9월경에 뿌리에 흙을 모아두면 흙에 묻힌 마디에서 손에 가락지를 끼운것 같은 노두가 뿌리와 별도로 생기므로 이것을 따 두었다가 씨뿌리로 하는것이다. 또 하나는 가을에 수확시에 잔뿌리를 골라서 그대로 씨뿌리로 하는데 큰 뿌리는 눈을 하나씩 붙여서 감자씨 오리듯이 쪼개서 나무재를 묻혀 씨뿌리로 한다. 재를 묻히는 이유는 감자와 같이 병충해의 칩입과 수분의 증산작용을 방지하는데 있다.

봄에는 3월 하순~4월 초순, 가을에는 10월 중·하순에 심는다. 10a당 씨뿌리양은 노두는 50kg내외이고, 뿌리는 90kg내외가 소요된다. 밭은 이어짓기를 싫어하므로 한번 재배한 곳은 적어도 3~4년간은 다른 작물을 가꾸어야 한다.

장마기에는 물빼기와 풀매기를 한다. 9월초에는 초장이 60cm내외에 달하고 꽃대가 나오는데, 이것을 절취할 필요는 있으나 그대로 두어도 무방하다. 이 때 노두의 발생을 위하여 북짓기를 해 주도록 한다.


꽃설명

꽃은 백색으로 8~9월에 피며 겹우산모양꽃차례로서 줄기끝이나 가지끝에 정생한다. 총산경(總傘梗)은 10개 내외이고 소산경은 15개이며, 총포와 소총포는 각각 5~6개이고 선형이다. 꽃부리는 소형이며 꽃잎은 5개이고 안으로 굽으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1개의 씨방이 있다.


열매설명

달걀모양이고 성숙하지 않는다.


생육환경설명

우리나라 각지에서 재배할 수 있다. 부식토가 많은 모래흙으로 여름철에 서늘하고 아침 안개가 잘 끼는 산간 농촌의 습기가 적당하고 물이 잘 빠지는 밭이 제일 좋다. 흙이 차지고 물이 잘 안 빠지는 곳은 장마때 뿌리가 썩을 염려가 있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2회 우상복엽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줄기잎은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고 소엽은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으로서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예리한 톱니가 있다.


원산지

중국 원산이다.


뿌리설명

근경은 비대하며 약간 염주상(念珠狀)이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두메천궁(C. univittatum)


줄기설명

높이 30-60cm이고 줄기가 갈라지며 곧게 선다.


크기설명

높이 30~60cm이다.


사용법

▶근경을 川芎(천궁)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9-11월에 근경을 캐어 莖(경), 葉(엽)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또는 약한 불로 쬐어서 건조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한다.

②성분 : Cnidilide, ligustilide, neocnidilide, butylphthalide, sedanon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

③약효 : 行氣(행기), 開鬱(개울), 祛風(거풍), 燥濕(조습), 活血(활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風冷(풍냉)으로 인한 頭痛旋暈(두통선운), 脇腹疼痛(협복동통), 寒邪(한사)에 의한 筋(근)의 마비, 월경불순, 난산, 産後瘀沮塊痛(산후어저괴통), 癰疽瘡瘍(옹저창양)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6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나 散劑(산제)로 하여 쓴다. <외용> 분말을 살포하거나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천마  (0) 2023.03.23
[식물도감] 천남성  (0) 2023.03.23
[식물도감] 처진뽕나무  (0) 2023.03.23
[식물도감] 처진물봉선  (0)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