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참새귀리
영문명: Common brome
과국명: 벼과
과명: Poaceae
속국명: 참새귀리속
속명: Bromus
비추천명: 참새귀밀
정명학명: Bromus japonicus Thunb.
이명학명: Bromus abolinii Drobow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
꽃 화서
개방원추화서는 길이 10~20cm, 폭 5~10cm, 아래쪽의 가지는 여러 개가 윤생하고 성기게 소수가 달린다.
꽃 소수(특징)
소수는 길이 15~35mm, 폭 5~7mm, 6~10개의 소화가 있다.
꽃 소수 포영
제1포영은 길이 4~5mm, 3맥, 제2포영은 길이 6~7mm, 7맥이다.
꽃 소수 소화 호영
호영은 타원형으로 길이 8~12mm, 7~9맥, 끝은 둔한 요두이며 끝에서 2mm정도 밑에 길이 5~16mm의 까락이 붙는다.
꽃 소수 소화 내용
내영은 길이 7~8mm, 용골부에 긴 털이 성기게 줄지어 난다.
열매설명
영과
생육환경설명
황무지, 밭, 하천변에 자란다.
잎 엽신
엽신은 길이 5~15cm, 너비 3~6mm이다.
잎 엽신 길이
5~15cm
잎 엽신 너비
3~6mm
잎 엽초
엽초는 절간보다 길고 원통형이며 연한 털이 있다.
잎 옆설(특징)
엽설은 반원형으로 길이 1.0~2.5mm이다.
잎 엽설 길이
1.0~2.5mm
원산지
한국
해외분포
일본, 중국, 만주, 코카사스, 중앙아시아, 유럽, 북아프리카
생육상 구분
1년생
유사식물설명
▶털빕새귀리(B. tectorum L.): 높이 30-60㎝, 엽초와 잎몸은 연모가 있다.
▶꼬리새(B. pauciflorus Hack.): 근경은 짧고 줄기는 연모가 있다. 엽초는 닫혀있고 털이 있다.
특징
큰참새귀리(B. secalinus)에 비해 소화경은 아래로 굽고, 까락이 마르면 밖으로 휜다.
줄기설명
줄기는 직립 또는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높이 30~70cm, 3~5개의 마디가 있다.
줄기 높이
30~70cm
크기설명
높이 30~70cm이다.
사용법
▶莖葉(경엽)을 雀麥(작맥), 종자를 雀麥米(작맥미)라고 하며 약용한다.
⑴雀麥(작맥)
①약효 : 難産(난산)에는 삶은 즙을 먹는다. 汗出不止(한출부지)에는 雀麥(작맥) 3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米糠(미강) 15g을 가해서 달여 복용한다.
⑵雀麥米(작맥미)
①약효 : 滑腸(골장), 益肝(익간), 和脾(화비)의 효능이 있다.
②용법/용량 : 삶아서 먹는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참새발고사리 (0) | 2023.03.21 |
---|---|
[식물도감] 참새그령 (0) | 2023.03.21 |
[식물도감] 참삿갓사초 (0) | 2023.03.21 |
[식물도감] 참사초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