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찰피나무
영문명: Manchurian lime
과국명: 피나무과
과명: Tiliaceae
속국명: 피나무속
속명: Tilia
비추천명: 금강피나무,둥근잎염주나무,설악보리수,염주보리수
정명학명: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이명학명: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var. depressa Nakai
<상세정보>
번식방법
불임율이 높아서 눈이 들어 있는 종자를 얻기가 어렵다. 씨껍질이 두꺼우므로 2년동안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취목, 삽목으로도 번식이 가능하다.
분포정보
중국, 극동러시아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분포.
재배특성
이식이 잘 된다.
꽃설명
꽃은 5월 중순 ~ 7월 중순 피고 담황색으로 7 ~ 20개가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꽃대 길이는 7 ~ 9cm로 갈색 털이 밀생한다. 포는 거꿀피침형이고 무딘형이며 길이는 5 ~ 12cm이고, 양면에 별모양의 털이 있으며, 꽃잎은 길이가 9 ~ 10mm이다.
열매설명
열매는 둥글며 갈색 털이 덮여 있고 포에 붙으며, 포가 떨어지면 프로펠러처럼 날아서 이동한다. 기부에 약간 줄이 지고, 9월 중순 ~ 10월 말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물푸레나무,다릅나무 등과 혼생하며 때로는 소군집을 형성한다. 양수이나 음지에서도 견디며 추위에 강하고 습기있는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양호하다. 건조에는 오래 견디지 못하며 공해와 내병충성이 강하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형의 원형으로 짧은 점첨두이며 심장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8 ~ 15cm × 7 ~ 15cm로 표면에 약간의 잔털이 있고 뒷면은 회색 또는 흰색으로 별모양 털이 밀생하고, 맥의 겨드랑이에 별모양 털이 있다. 잎자루 길이는 3 ~ 7cm이고 맹아의 것은 길이가 28cm이다.
원산지
한국
수피
나무껍질은 평활하고 얼룩무늬가 있으며 일년생가지와 동아에 갈색 성모가 밀생한다.
보호방안
조경용으로 개발가치가 높은 수종으로,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이 크므로 관리상 편하다.
형태
낙엽 활엽 교목.
유사식물설명
▶웅기피나무(Tiliaovalis Nakai): 찰피나무에 비해 열매가 거의 달걀모양이고 선단이 돌출하여 있다.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특징
▶충청남도 보령시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피나무 중 곧게 잘 자라는 나무로 목재 가치가 높으며 맹아력이 좋고 생장속도가 빠르다.
줄기설명
줄기는 곧게 올라가서 원형의 수형을 만들며,나무껍질은 평활하고 얼룩무늬가 있으며 일년생가지와 동아에 갈색 성모가 밀생한다.
크기설명
높이 10m.
사용법
생장이 신속한 수종으로서 산록 이하의 입지가 좋은 곳에 유용활엽수로 조림이 요청된다. 가로수나 공원수, 생태공원에도 좋다. 목재는 탄력성과 가공성이 좋아 기구재나 건축재, 악기재, 바둑판 등으로 쓰이며 밀원수목이고,꽃은 차로,열매는 염주로 이용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참갈매나무 (0) | 2023.03.20 |
---|---|
[식물도감] 참가시나무 (0) | 2023.03.20 |
[식물도감] 찰벼 (0) | 2023.03.20 |
[식물도감] 차풀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