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차꼬리고사리
영문명: Maidenhair spleenwort
과국명: 꼬리고사리과
과명: Aspleniaceae
속국명: 꼬리고사리속
속명: Asplenium
비추천명: 개차고사리
정명학명: Asplenium trichomanes L. subsp. quadrivalens D.E.Mey.
이명학명: Asplenium quadrivalens (D.E.Mey.) Landolt
<상세정보>
분포정보
일본, 대만, 중국, 러시아, 히말라야, 코카시아, 인도, 유럽,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북미
생육환경설명
돌담이나 산지의 바위 틈
잎 엽병
광택이 있는 흑갈색으로 길이 1.3-6.8cm, 지름 0.6-1.1mm이며, 날개가 있다.
잎 엽신
짙은 녹색이고, 길이 10-25cm, 너비 1.1-2.5cm로 선형이다. 중축은 흑갈색으로 윤채가 있고, 무성아가 생기기도하며, 양쪽 가장자리에 모가지고, 날개가 붙는다. 우편은 1회우상으로 갈라지고, 귀모양으로 발달하지 않으며, 길이 4-8mm, 너비3-6mm로장타원형이다. 최장우편은 타원형으로 길이 0.5-1.3cm이다.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생육상 구분
상록성이다.
특징
개차꼬리고사리(A. tripteropus Nakai)는 본 종과 비교하여 중축의 양옆과 뒷면에 3개의 날개가 있는 것으로 구분되어지며 제주도에 자생한다고 알려졌으나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포자 포막
길이 1.5mm이다.
포자 포자낭군
장타원형 또는 선형이며, 길이 1.5-3.2mm, 너비 0.2-1.1cm로 2줄로 달린다.
줄기 근경
짧고, 곧추서며, 마른 잎으로 덮이고, 잎은 총생한다. 인편은 길이 0.9-3.8mm로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흑갈색이고, 가장자리는 색이 연하다.
크기설명
높이 15-30cm
사용법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철각봉미초(鐵角鳳尾草)라고 한다.
ⓐ약효 : 청열(淸熱), 삼습(渗濕), 지혈(止血), 산어(散瘀)의 효능이 있다. 이질(痢疾), 임병(淋病), 만성질염(慢性膣炎), 백대하(白帶下), 월경불순(月經不順), 창절정독(瘡癤賽毒), 질타(跌打)로 인한 요통(腰痛)을 치료한다. 적리(赤痢), 백리(白痢)를 치료하려면 뿌리와 잎을 술로 달여서 복용하고, 타박상과 요통은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용법/용량 : 10-12g을 달여서 또는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차일봉개미자리 (0) | 2023.03.20 |
---|---|
[식물도감] 차나무 (0) | 2023.03.20 |
[식물도감] 차걸이란 (0) | 2023.03.20 |
[식물도감] 찔레꽃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