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지황
영문명: Adhesive Rehmannia
과국명: 현삼과
과명: Scrophulariaceae
속국명: 지황속
속명: Rehmannia
정명학명: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이명학명: Digitalis glutinosa Gaertn.
<상세정보>
방제방법
▶뿌리썩음병
①발병한 것은 뽑아 태워 버린다.
②토양은 나무재 또는 석회로 소독한다.
③연작과 질소비료의 과용을 하지 않아야 한다.
④약제 방제로는 살균제 모두나, 안트라콜, 다코닐 등을 주기적으로 살포하면 효과적이다.
▶충해
①거세미: 5월 하순~6월 중순 사이에 지오렉스분제를 2회 정도 뿌려 주면 효과적이다.
②청벌레: 피해 포장에는 디디브이피(DDVP)와 리콥트 유제를 살포한다.
번식방법
▶뿌리나누기법: 뿌리를 끊어서 심는다. 어린뿌리는 병이 없고 생육이 건전한 포기를 택한다. 흔히 굵은 뿌리는 약재로 쓰고 잔뿌리만 어린뿌리로 쓰는데, 적당한 굵기의 중간 부분을 쓰는 것이 좋다.
▶어린뿌리: 캔 후에 1주일 정도 햇볕에 말려서 실내의 흙 속에 왕겨를 깔아 저장 하든가 또는 바람이 잘 통하는 헛간 같은 데에서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말려서 비를 맞지 않은 곳에 구덩이를 깊이 파고 밑에 마른 모래를 깐 후 지황과 모래를 교대로 넣고 그 위에 공간을 두고 나무를 걸쳐서 흙은 덮어 두어 저장한다.
병충해정보
▶병해
뿌리썩음병: 8-9월경에 발생하며 잎이 시들어 버린다.9월이 지나 추워지기 시작하면 그다지 위세가 없으나 고온다습한 후에 많이 발생한다.
▶충해: 거세미, 청벌레, 야도층, 뿌리자름벌레 등의 발생도 있으나 그 피해는 대단치 않다.
재배특성
1)재배기술
▶정식: 10a당 소요종근량은 40-60㎏정도이다. 어린뿌리는 심기 10일 전쯤에 꺼내어 위 아래를 절단해 버리고 중앙부를 5-6㎝정도의 길이로 절단하고 가급적이면 다시 한번 습기찬 흙모래 속에 묻어서 싹을 틔운 다음에 본포장에 정식한다.심는 시기는 6월 중의 갠날을 택해서 실시한다.
2)관리: 본포장은 5월 중순경부터 흙을 정지하고 배수구를 만든다.두둑사이에는 30-35㎝로 하고 묽은 인분뇨를 주어 마르기전에 어린뿌리를 12-15㎝간격으로 심고 흙을 덮는다. 9월에 들어서 봉오리가 맺히면 보는 대로 따버려 뿌리의 발육을 도와준다. 비료는 3요소 중에서 질소질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데 칼리도 적절히 배합하는 것이 좋다. 보통 인분뇨, 퇴비, 초목회, 깻묵, 과인산석회, 유안을 쓰면 된다. 덧거름은 10-11월 상순에 준다.
3)수확: 뿌리는 11월 하순에 줄기,잎이 고사하기 시작할 때부터 이듬해 3월 중순 사이에 캐내면 된다. 채취한 뿌리는 굵은 부분,가는 부분을 구별하여 9㎝정도로 절단하여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장마전까지 자연방치해 둔다. 이렇게 말린 것을 상간이라 하고 4-5월까지만 말린 것을 신간이라 한다. 또 대소부위에 따라 일인지황, 산산지황, 설지황, 도지황 등으로도 나눠진다. 지황에는 조제법에 따라서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의 구별이 있다.
꽃설명
꽃대는 높이 15-18cm로서 밑부분에서 잎이 어긋나기하고 윗부분에서는 잎같은 포가 어긋나기하며 꽃은 6~7월에 피고 화경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부리는 통형이고 홍자색으로서 끝이 퍼져 5개로 갈라지며 순형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며 원줄기, 화경, 꽃받침 및 화관에 샘털이 많다.
열매설명
삭과로서 타원형이고 포간(胞間)이 벌어진다.
생육환경설명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가 재배에 적당하다. 우리 나라에서는 전국 각지에 재배할 수 있으나, 중남부 지방이 더 적당하다. 동남쪽으로 향한 경사지나 물빠짐이 좋은 평지의 참흙 또는 모래참흙으로 30cm 밑에는 약간 단단하고 겉흙이 부드러운 땅이 가장 좋다.
잎설명
근생엽은 모여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 예저로서 표면에 주름이 있고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긴 타원형으로 톱니가 있다.
원산지
중국이 원산이다.
보호방안
잎이 넓고 근경이 굵고 잔뿌리가 적은 계통을 골라서 재배하는 것이 높이 수량과 좋은 품질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뿌리설명
뿌리는 굵고 옆으로 뻗으며 감색이다. 지황(地黃)이라 하고, 생지황을 구증구폭(九蒸九暴)한 것이 숙지황(熟地黃)이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설명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크기설명
꽃대는 높이 15-18cm이다.
사용법
▶건조한 근경(根莖)은 乾地黃(건지황), 신선한 근경은 鮮地皇(선지황), 잘 쪄낸 근경은 熟地黃(숙지황), 화(花)는 地黃花(지황화), 종자는 地黃實(지황실), 엽(葉)은 地黃葉(지황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乾地黃(건지황) - ①성분 : 지황 근경의 주요성분은 β-sitosterol과 mannitol이며 또 소량의 stigmasterol과 미량의 campesterol을 함유하며 rehmanin, alkaloid, 脂肪酸(지방산), catalpol, glucose와 비타민A樣(양) 물질을 함유한다. 뿌리는 또 stachyose, arginine과 γ-butyl amino acids를 함유한다. ②약효 : 滋陰(자음), 補血(보혈), 凉血(양혈)의 효능이 있다. 陰虛發熱(음허발열), 消渴(소갈),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崩(혈붕), 월경불순, 胎動不安(태동불안), 陰虛便秘(음허변비)를 치료한다.
⑵鮮地皇(선지황) - ①9-11월 또는 봄에 파내며 채취할 때 외피에 상처를 입히면 썩으므로 주의한다. ②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生津(생진), 止渴(지갈)의 효능이 있다. 溫病(온병)에 의한 傷陰(상음), 大熱(대열)에 의한 煩渴(번갈), 舌絳(설강-濃赤色(농적색)), 神昏(신혼-의식이 혼미해서 뚜렷치 않음), 斑疹(반진),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虛勞骨蒸(허로골증), 咳嗽時出血(해수시출혈), 消渴(소갈), 변비, 血崩(혈붕)을 치료한다.
⑶熟地黃(숙지황) - ①약효 : 滋陰(자음), 補血(보혈)의 효능이 있다. 陰虛血少(음허혈소), (요슬위약), 勞嗽骨蒸(노수골증), 遺精(유정), 崩漏(붕루), 월결불순, 消渴(소갈), 數(수수), 耳聾(이농), 目昏(목혼)을 치료한다.
⑷地黃花(지황화) - 消渴(소갈-당뇨병), 腎虛腰痛(신허요통)을 치료한다. 粉末(분말)로 만들어 복용하면 地黃(지황)과 같은 효과가 있다. 腎虛(신허), 腰脊痛(요척통)의 치료에 粉末(분말)로 하여 술과 함께 복용한다.
⑸地黃實(지황실) - 그늘에서 말린 다음 짓찧어 으깨어 물로 복용하면 地黃(지황) 등과 같은 효과가 있다.
⑹地黃葉(지황엽) - 惡瘡(악창), 疥癬(개선)을 치료한다.
▶자양강장작용이 있으며 또한 병후 회복기이 자양강장제로 쓰여진다. 1인용량은 5-10g을 타서 먹으며 지황엿, 지황보명주, 기타 가정약 제조원료로 쓰여진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진남포사초 (0) | 2023.03.19 |
---|---|
[식물도감] 진고사리 (0) | 2023.03.19 |
[식물도감] 지칭개 (0) | 2023.03.18 |
[식물도감] 지치 (0) | 2023.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