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쥐똥나무
영문명: Border privet
과국명: 물푸레나무과
과명: Oleaceae
속국명: 쥐똥나무속
속명: Ligustrum
비추천명: 개쥐똥나무,검정알나무,귀똥나무,남정실,백당나무,싸리버들,좀털쥐똥나무,청쥐똥나무,털쥐똥나무,푸른쥐똥나무
정명학명: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이명학명: Ligustrum ciliatum Siebold ex Blume var. spathulatum Blume
<상세정보>
번식방법
▶실생과 삽목으로 번식한다.
①실생 : 가을에 성숙한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 후 이듬해 파종하면 많은 묘목을 얻을 수 있다.
②삽목 : 좋은 개체를 증식하기 위해서 꺾꽂이(봄, 여름)하는 것이 좋다. 삽목으로 용이하게 번식할 수 있다.
병충해정보
▶병충해 : 녹병, 반점병, 잎말이나방.
분포정보
일본; 황해도,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분포.
재배특성
이식이 용이하다.
꽃설명
꽃은 암수한그루로 5 ~ 6월에 피며, 총상 또는 복총상꽃차례이며 길이 2 ~ 3cm로 많은 꽃이 달리고 잔털이 많으며, 꽃받침은 녹색으로 4개의 톱니와 잔털이 있고, 꽃부리는 통형으로 길이 7 ~ 10mm로 흰색이며 4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2개로 화통에 달린다.
열매설명
열매는 핵과로 달걀형의 원형이고 길이 5 ~ 7mm로 검은색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자연상태에서 음수로 자라지만 충분한 광선을 요구한다.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란다. 내조성과 내한성, 내공해성이 강하며 토양은 비교적 가리지 않는 편으로 아무데나 심어도 잘 자란다.
잎설명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 타원형이고 무딘형이며 넓은 예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2 ~ 7cm × 7 ~ 25mm로,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톱니가 없고, 잎자루의 길이는 1 ~ 2mm 정도 된다.
원산지
한국
뿌리설명
잔근성이다.
형태
낙엽 활엽 관목.
유사식물설명
▶털쥐똥나무(L. obtusifolium S. et Z. var. regelianum Rehder): 2년지에 털이 있고 잎이 긴 타원형이며 어릴 때 표면에 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 융털이 있다.
▶왕쥐똥나무(Ligustrum ovalifolium Hassk.)
▶청쥐똥나무(L. obtusifolium S. et Z. var. glarum Nakai)
▶산동쥐똥나무(L. acutissimun Koehne)
▶버들쥐똥나무(L. salicinum Nakai)
▶섬쥐똥나무(Ll. foliosum Nakai)
▶둥근잎섬쥐똥나무(L. foliosum Nakai for. ovale Nakai)
▶좀털쥐똥나무(L. ibota S. et Z.)
특징
▶전라남도 완도군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쥐똥나무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배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산초나무, 멀구슬나무, 딱총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검게 익은 열매가 쥐똥 같다 하여 `쥐똥나무`라고 부른다. 생장이 빠르고 잔가지가 많이 나고 맹아력이 강해 정형적인 수형 조성이 가능하며 적응성이 높아 어느 곳에서나 식재가 가능하다.
줄기설명
가지가 가늘고 잔털이 있으나 2년지는 털이 없으며 회백색이고 많이 갈라진다.
크기설명
높이 2 ~ 4m, 수관폭 3m.
사용법
▶생울타리용으로 심으며, 전정이 잘 되어 조형수로 이용된다.
▶쥐똥나무/왕쥐똥나무의 과실을 水蠟果(수랍과)라 하며 약용한다.
①과실이 성숙한 10월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强壯(강장), 止血(지혈), 止行(지행)의 효능이 있다. 신체허약, 腎虛(신허), 遺精(유정), 自汗(자한), 吐血(토혈), (육혈), 血便(혈변)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쥐보리 (0) | 2023.03.17 |
---|---|
[식물도감] 쥐방울덩굴 (0) | 2023.03.17 |
[식물도감] 쥐다래 (0) | 2023.03.17 |
[식물도감] 쥐꼬리풀 (0) | 20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