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좀개구리밥
영문명: Minute duckweed
과국명: 개구리밥과
과명: Lemnaceae
속국명: 좀개구리밥속
속명: Lemna
비추천명: 개구리밥,푸른개구리밥
정명학명: Lemna aequinoctialis Welw.
<상세정보>
분포정보
▶극지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자란다.
▶전국에 분포한다.
재배특성
늦가을에 엽상체에서 원형의 겨울눈이 생겨 모체에서 떨어져, 물밑에 잠겨 월동한다.
꽃설명
꽃은 백색이며 8월에 엽상체 옆에서 피고 꽃에는 1개의 포가 있으며 그 속에 2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있다. 수꽃은 1개의 수술로 되고 꽃밥은 4실이며 암꽃은 1개의 암술뿐이고 수꽃과 더불어 화피가 없다.
열매설명
엽상체의 뒷면 좌우에서는 각각 1개씩의 낭체(囊體)가 자라 모체와 더불어 물 위에 떠있다.
생육환경설명
▶논이나 연못의 물위에 떠서 산다.
잎설명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녹색 또는 자줏빛을 띤다.
원산지
한국
뿌리설명
뒷면 중앙에는 관다발이 없는 1개의 뿌리가 있어 길이 3-4cm이며 백색이고 가늘며 뿌리 끝에 있는 뿌리골무는 끝이 둔하다.
형태
수생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설명
식물체는 잎처럼 생긴 도란상 넓은 타원형이고 줄기는 길이 3-5mm, 나비 2-4mm로서 양끝이 둥글며 끝 가까이에 1개의 돌기가 있고 3맥이 있으며 대가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털이 없다.
크기설명
줄기의 길이 3-5mm, 나비 2-4mm.
사용법
▶전초를 浮萍(부평)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6-9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한다.
②성분 : 부평초에는 초산칼륨 및 염화칼륨, 沃素(옥소), 臭素(취소) 등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들 다당류는 d-apiose의 풍부한 원천이다. 그 밖에 樹脂(수지), 蠟質(납질), sterol 류, 엽록소, 糖蛋白質(당단백질), 점토질, tannin 등이 들어 있다.
③약효 : 發汗祛風(발한거풍), 利水(이수),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유행성 열병, 발진이 안 될 때, 풍열은진, 皮膚搔痒(피부소양), 消腫(소종), 閉(융폐), 瘡癬(창선), 丹毒(단독), 화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6g(신선한 것은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서 즙으로 복용하며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좀개소시랑개비 (0) | 2023.03.11 |
---|---|
[식물도감] 좀개미취 (0) | 2023.03.11 |
[식물도감] 좀개갓냉이 (0) | 2023.03.11 |
[식물도감] 좀갈매나무 (0) | 202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