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족제비싸리

MinorMan 2023. 3. 10. 15:46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족제비싸리

영문명: Shrubby amorpha

과국명: 콩과

과명: Fabaceae

속국명: 족제비싸리속

속명: Amorpha

비추천명: 미국싸리

정명학명: Amorpha fruticosa L.

이명학명: Amorpha croceolanata P.Watson


<상세정보>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삽목으로 한다.

①실생 :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기건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파종 전에 열탕처리를 하여 파종한다.

②삽목이나 분주로도 번식이 가능하다.


분포정보

전국 식재 및 귀화되어 퍼짐.


꽃설명

5~6월, 총상꽃차례(길이 7~15cm)는 가지 끝에 달리고 꽃은 길이 6mm로 자줏빛 보라색으로 향기가 강하며 꽃받침에는 샘이 많고 열편은 뾰족하고 털이 없거나 있으며 기꽃잎은 길이 6mm로 달걀형의 원형이고 날개꽃잎과 용골꽃잎이 없다.


열매설명

열매는 약간 굽으며 길이 7~9mm로 종자가 대개 1개씩 들어있으며 콩팥모양으로 9월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길가, 철로 주변, 밭둑에서 자라며 내공해성, 내염성이 강하며 생장이 빠르다. 내한성이 강하여 전국 어디서나 식재가 가능하고 건조에도 강하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11 ~ 25개씩이며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지만 주맥 끝은 뾰족하며 길이 1.5 ~ 3cm로 뒷면에 잔털이 없거나 약간 존재한다.


원산지

북아메리카


해외분포

북아메리카 원산


형태

낙엽 활엽 관목


유사식물설명

▶털족제비싸리(A. canescens Fursh): 키가 1m쯤 자라며 밑의 소엽이 가지에 가깝게 달리고 잎에 털이 있다.

▶애기족제비싸리(A. brachycarpa E. J. Palm)


특징

▶1930년경 만주를 거쳐 도입되어 전국의 사방지, 황폐지 복구 등의 목적으로 심고 있다.

▶맹아력이 강하다.


줄기설명

작은 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크기설명

높이 3m.


사용법

▶신설된 도로변에 식재하거나 경사지의 토사유출 방지, 토양개량 등의 목적으로 심으면 효과적이며 맹아력이 강하여 생울타리로 활용하여도 좋다.

▶잎은 혈압강하작용이 있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족제비싸리를 염료 식물로 이용했다는 기록은 없지만, 잎과 꽃을 포함한 가지 끝을 모아서 염액을 내었다. 염액은 포도주색으로 되었으며,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으며 특히 철은 매우 짙고 깊은 색이 되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졸가시나무  (0) 2023.03.10
[식물도감] 족제비쑥  (0) 2023.03.10
[식물도감] 족제비고사리  (0) 2023.03.10
[식물도감] 조팝나무  (0) 2023.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