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조도만두나무

MinorMan 2023. 3. 10. 15:14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조도만두나무

영문명: Jodo cheesetree

과국명: 대극과

과명: Euphorbiaceae

속국명: 조도만두나무속

속명: Glochidion

정명학명: Glochidion chodoense C.S.Lee & H.T.Im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전라남도 진도군)


꽃설명

꽃은 단성꽃이다. 수꽃은 잎겨드랑이에 여러송이가 속생, 꽃대의 길이가 7~9mm이고, 꽃받침은 6장, 길이 2mm 정도이다. 좁은 쐐기 모양의 거꿀달걀모양, 원형, 암꽃은 여러 송이가 속생, 꽃대의 길이는 1mm 미만이고, 꽃받침은 6장, 길이 1mm 정도이다. 타원상 거꿀달걀모양, 원형으로 전부 흰색 털로 덮여 있다. 암술머리는 6개 또는 그 이상, 동합, 씨방은 흰색 연모로 덮여 있다. 7~8월에 개화, 연한 노란색


열매설명

9~10월 익는 열매는 삭과로 움푹 들어간 구형이고, 6실 또는 그 이상이다.


생육환경설명

전남 진도군의 바닷가 근처 풀밭이나 숲 가장자리에 자란다.


잎설명

잎은 단엽으로 어긋나기하며, 잎자루가 길이가 1~2mm이고 연모가 있다. 엽신은 장타원형에서 타원형이고, 길이 5~8cm, 너비 2.5~3.5cm이다.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털이 거의 없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을 띠며, 맥 주위에 흰빛이 나는 털이 있다.


노트

▶한반도 특산종, 고유종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멸종위기종(CR)

▶환경부 지정 적색목록: 미평가(NE)

▶식물구계학적종등급Ⅴ


원산지

한국


보호방안

자생지가 1~2곳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다. 기후변화에 따른 자생지 환경악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생육형

낙엽 관목


특징

Lee and Im (1994)은 전남 조도에서 처음 발견하고 열매가 만두를 닮아, 조도만두나무라고 이름을 붙였다.


줄기설명

빽빽하게 가지를 친다. 가지에 잿빛의 흰색 털이 있다.


크기설명

높이 3~5m 정도로 자란다.


사용법

관상식물로 이용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조록싸리  (0) 2023.03.10
[식물도감] 조록나무  (0) 2023.03.10
[식물도감] 조개풀  (0) 2023.03.10
[식물도감] 조개나물  (0) 2023.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