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조

MinorMan 2023. 3. 10. 15:05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조

과국명: 벼과

과명: Poaceae

속국명: 강아지풀속

속명: Setaria

비추천명: 큰조

정명학명: Setaria italica (L.) P.Beauv.

이명학명: Panicum italicum L.


<상세정보>

분포정보

한국


꽃 화서

응축원추화서이다. 화서는 길이 8~25cm, 폭 2~4cm, 원주형이며 끝이 고개를 숙인다.


꽃 소수(특징)

소수는 구형으로 지름 2.5~3.0mm, 자루의 기부에 1~4개의 까락모양의 자모(가지가 변형된 것)가 있다.


꽃 소수 포영

제1포영은 작고 광란형, 1~3맥, 소수의 기부를 감싼다. 제2포영은 소수 길이의 0.6~0.7배이고 5~7맥이 있다.


꽃 소수 소화(특징)

제1소화는 불임, 제2소화는 임성이다.


꽃 소수 소화 호영

제1소화 호영은 소수 길이와 같고 제2소화 호영은 길이 2~3mm, 혁질, 가장자리는 내영을 감싼다.


꽃 소수 소화 내용

제1소화 호영의 안쪽에 1/2길이의 막질의 내영이 있다. 제2소화 내영은 안쪽으로 말리고 경질이다.


열매설명

영과


생육환경설명

식용 또는 사료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잎 엽신

엽신은 길이 20~45cm, 너비 10~35mm이다.


잎 엽신 길이

20~45cm


잎 엽신 너비

10~35mm


잎 엽초

엽초는 거의 털이 없다.


잎 옆설(특징)

엽설은 막질부가 없이 백색의 털이 줄지어난다.


원산지

한국


해외분포

일본, 중국, 세계적인 재배종


생육상 구분

1년생


특징

금강아지풀(S. pumila)에 비해 화서는 길이 8~25cm, 짧은 가지와 아래쪽에 약간의 빈틈이 있다. 식물체는 높이 50~180cm, 영과(穎果)는 구형(球形)이다.


줄기설명

줄기는 높이 50~180cm, 직립하며 10~24개의 마디가 있다.


줄기 높이

50~180cm


크기설명

높이는 1-1.5m


사용법

▶곡류의 일종으로 식용된다.

▶種仁(종인)은 粟米(속미), 영과를 발아시킨 것을 粟芽(속아), 종자의 가공품은 粟糖(속당)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粟米(속미)

①조의 種仁(종인)으로 오랫동안 저장된 것을 陳粟米(진속미)라 한다.

②약효 : 和中(화중), 益腎(익신), 除熱(제열), 解毒(해독)의 효능이 있다. 脾胃虛熱(비위허열), 反胃嘔吐(반위구토), 消渴(소갈-당뇨병), 水樣性 下痢(수양성 하리)를 치료한다. 陳粟米(진속미)는 下痢(하리)를 止(지)하고 煩悶(번민)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 胃熱(위열), 消渴(소갈)을 主(주)하고 소변을 利(이)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하거나 죽을 쑤어 먹는다. <외용> 분말을 살포하거나 삶아 즙으로 塗布(도포)한다.

⑵粟芽(속아)

①조의 영과를 발아시킨 것으로 粟穀(속곡)을 물에 담갔다가 곧 건져 대바구니에 담고 위에는 볏짚을 깔어서 덮는다. 1일 4-5회씩 물을 주어 마르지 않게 하여 2-3mm길이로 발아가 되면 햇볕에 널어 말린다.

②약효 : 健脾(건비)하고 食滯(식체)를 消(소)하는 효능이 있다. 食積腸滿(식적장만), 식욕부진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粟糖(속당)

①조의 種仁(종인)인 粟米(속미)를 발효 糖化(당화)하여 만든 糖(당)이다.

②약효 : 痔瘻脫肛(치루탈항)을 치료하는데 諸藥(제약)과 조합하여 燻(훈)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조개나물  (0) 2023.03.10
[식물도감] 조각자나무  (0) 2023.03.10
[식물도감] 제충국  (0) 2023.03.10
[식물도감] 제주황기  (0) 2023.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