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제비쑥

MinorMan 2023. 3. 9. 11:18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제비쑥

영문명: Oriental wormwood

과국명: 국화과

과명: Asteraceae

속국명: 쑥속

속명: Artemisia

비추천명: 가는제비쑥,자불쑥,큰제비쑥

정명학명: Artemisia japonica Thunb.

이명학명: Artemisia japonica Thunb. f. manshurica Kom.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분포정보

우리나라 전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꽃설명

꽃은 7~9월에 피며 길이 2mm, 지름 1.5mm로서 난상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윤채(潤彩)가 있으며 황록색이고 원줄기 끝의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0.5~3mm이다. 총포는 털이 없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달걀모양 둔두이고 내편은 타원형 원두로서 모두 뒷면에 능선이 있다. 암꽃은 8~11개이며 양성꽃은 5~6개이다.


열매설명

수과는 길이 0.8mm이며 털이 없다.


생육환경설명

산지에서 흔히 자란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고 쐐기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3.5-8cm, 나비 0.8-3cm로서 양면에 견모가 드문드문 있고 양쪽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윗부분이 결각상으로 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중앙부의 잎은 여러 가지이지만 길이 4-8cm로서 밑부분에 탁엽이 달려 있는 것같으며 주걱모양 비슷한 쐐기모양으로서 우시부분에 치아모양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거나 도는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선형으로 된다.


원산지

한국


형태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더위지기, 사철쑥, 개똥쑥 등이 있다.


줄기설명

높이 30-90cm이다.


크기설명

높이 약 30~90cm이다.


사용법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全草는 牡蒿(모호), 根은 牡蒿根(모호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牡蒿(모호)

①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는 精油(정유)를 함유하며 그 속에는 copaene, farnesyl acetate, caryophyllene, tricyclovetivene, β-humulene, ε-,δ-,γ-cadinene이 있다. 이 밖에 α-, β-pinene, camphene, limonene, 1,8-cineole, α-thujone, artemisia ketone, artemisia alcohol 및 β-bourbonene을 함유한다.

③약효 : 解表(해표), 淸熱(청열), 살충의 효능이 있다. 감기로 인한 身熱(신열), 노상으로 인한 咳嗽(해수), 潮熱(조열-매일 一定時(일정시)의 發熱(발열)), 소아의 疳(감)으로 인한 熱(열), 말라리아, 口瘡(구창-口內炎(구내염)), 疥癬(개선), 濕疹(습진)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5-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 낸 즙을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⑵牡蒿根(모호근) - 류머티즘으로 인한 痺痛(비통), 寒濕浮腫(한습부종)을 치료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제주나래새  (0) 2023.03.09
[식물도감] 제주고사리삼  (0) 2023.03.09
[식물도감] 제비붓꽃  (0) 2023.03.09
[식물도감] 제비동자꽃  (0)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