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전나무
영문명: Needle fir
과국명: 소나무과
과명: Pinaceae
속국명: 전나무속
속명: Abies
비추천명: 저수리,젓나무
정명학명: Abies holophylla Maxim.
이명학명: Pinus holophylla (Maxim.) Parl.
<상세정보>
번식방법
실생으로 번식한다.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이나 기건저장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입고병 피해가 심하므로 종자와 토양소독을 요한다.
ⓒ순량율 93%, ℓ당 입수 7,693립, 발아율 25% 이다.
ⓓ파종후 해가림을 해주어야 한다.
분포정보
한국(경기, 강원, 충북, 전남, 경북, 경남), 중국(북부, 동북부), 러시아 동부
재배특성
조림: 어릴때 자람이 매우 느리므로 4-5년생의 큰 묘목을 조림하는데 정보당 일반적으로 3,000본을 심는다.
풀베기: 나무를 심은 후 5-7년간 풀베기 작업을 해준다.
잡목 솎아베기: 풀베기가 끝난 후 3-4년이 지나면 잡목 솎아베기를 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넓은잎나무 중에 형질이 좋은 나무는 남겨두어 혼효림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간벌: 심은지 20년이 지나야 간벌을 시작하며 보통의 임지에서는 25년생, 30년생과 40년생일 때 간벌을 해주면 되며 어린나무도 너무 빽빽한 곳은 열식으로 간벌을 해준다.
생장속도는 어릴 때는 매우 느리나 자람에 따라 보통이다.
노트
전나무(A. holophylla)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분비나무(A. nephrolepis)와 구상나무(A. koreana)에 비해 수피가 암갈색으로 거칠고, 구과의 포편은 밖으로 나오지 않으며, 잎은 선형으로 뾰족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본에 분포하는 A. homolepis Siebold & Zucc.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A. homolepis는 구과가 자주색이며, 포편은 실편의 1/2이상으로 길고, 잎의 끝은 둥글거나 움푹 파이는 특징에 의해 구분된다(Yang et al., 2012).
원산지
한국
형태
고산성 상록교목이고, 높이가 40m, 지름이 1.5m에 달한다. 수피는 암갈색이며, 거칠고, 껍질이 갈라진다. 잔가지는 회갈색이며, 털이 없거나 간혹 있고, 얕은 홈이 있다. 잎은 선형이며, 예두이고, 길이 17.3∼39mm, 너비 1.6∼2.3mm이다. 뒷면에는 흰색 기공선이 있다. 구화수는 4월에 달리고, 암수한그루, 웅성구화수는 원주형이고, 황록색이며, 길이가 약 15mm이고, 구화수 자루의 길이 약 4.5mm이다. 자성구화수는 2∼3개가 인접해서 달리며, 길이 약 35mm이고, 구화수 자루의 길이 약 6mm이다. 구과는 원주형이며, 밝은 황갈색이고, 길이 (100)129.1∼145.2mm, 너비 33.4∼38.5mm이다. 실편의 개수는 190∼203개이며, 실편의 길이는 22.8∼24.2(30)mm, 너비는 32.4∼35.7mm이다. 포편은 밖으로 나오지 않고, 평활하며, 길이 13.1∼13.5mm, 너비 5.6∼6.3mm이다. 포침은 길이 1.2∼1.3mm이다. 종자는 난상 삼각형이고, 연한 갈색이며, 길이 9.9∼11mm이고, 너비 5.3∼5.6 mm이다. 결실기는 10월 상순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전주물꼬리풀 (0) | 2023.03.08 |
---|---|
[식물도감] 전동싸리 (0) | 2023.03.08 |
[식물도감] 적화강낭콩 (0) | 2023.03.08 |
[식물도감] 재쑥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