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장군풀

MinorMan 2023. 3. 6. 03:55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장군풀

영문명: Korean rhubarb

과국명: 마디풀과

과명: Polygonaceae

속국명: 대황속

속명: Rheum

비추천명: 왕대황,토대황

정명학명: Rheum coreanum Nakai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분포정보

함남(차일봉, 구태산), 함북(백두산, 관모봉)에 야생한다.


꽃설명

꽃은 7-8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복총상꽃차례가 모여 원줄기 끝에서 큰 원뿔모양꽃차례를 형성하고 꽃대축은 붉은 빛이 돌며 털이 없으나 가지에는 잔털이 있다. 꽃자루는 중앙 이하에 환절이 있고 꽃받침조각은 6개가 2줄로 배열되며 안쪽 것이 보다 크고 길이 2mm정도이며 수술은 10개로서 털이 없고 꽃밥은 흑홍색이다. 씨방은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설명

수과는 꽃받침(숙존악)에 싸여 있다.


생육환경설명

높은 산의 암석지에 난다.


잎설명

근생엽은 장상으로 3개로 갈라지며 각 열편은 뾰족하게 다시 갈라지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과 가장자리에 복모가 있다. 엽병은 지름 2-2.5cm로서 털이 없고 탁엽은 넓은 달걀모양이며 길이8cm로서 가장자리가 흑갈색이다. 2개의 줄기잎은 엽병과 더불어 길이 60cm, 폭 4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에서 3개의 큰맥이 발달한다.


원산지

한국


뿌리설명

근경을 왕대황(王大黃)이라 하고 뿌리는 매우 비대해지고 황색이며 갈라져서 옆으로 퍼지고 윗부분이 흑갈색 비늘조각으로 싸여있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유사식물설명

▶대황(R. undulatum): 뿌리는 황색, 배추 꼬랑이 모양이다. 잎은 넓은 심장형, 긴 잎자루, 잎맥은 뒷면에 돌출,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다.


특징

세계에 수 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줄기설명

속이 빈 원줄기는 높이 2m, 밑부분의 지름 5cm정도로서 종선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크기설명

높이 2m이상.


사용법

▶근경은 大黃(대황), 莖(경) 또는 嫩苗(눈묘)는 大黃莖(대황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大黃(대황)

①9-10월에 3년 이상 생육된 것을 골라서 근경을 캐어 경엽, 곁뿌리를 제거한 다음 粗皮(조피)를 벗기고 蘆頭(노두)를 잘라내고 건조한다.

②약효 : 緩下(완하), 健胃藥(건위약)으로서 攻積導滯(공적도체), 瀉下凉血(사하양혈), 行瘀通經(행어통경)의 효능이 있다. 實熱便秘(실열변비), 贍言發狂(섬언발광), 식적비만, 세균성 下痢(하리)의 초기증상, 裏急後重(이급후중), 瘀停經閉(어정경폐), 징하, 積聚(적취), 時行熱疫(시행열역), 급성복막염, 토혈, 비출혈, 腸黃(장황), 水腫(수종), 淋濁(임탁), 수적(혈뇨 등), 癰瘍腫毒(옹양종독), 정창, 화상 등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12g을 달여 복용한다. (下劑(하제)로 사용할 때는 오래 달이지 말 것).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로 물이나 醋(초)로 고루 개어 바른다.

⑵大黃莖(대황경) - 醒酒(성주), 해열의 효능이 있다. 大便不通(대변불통)과 腸熱(장열)을 칠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장대나물  (0) 2023.03.06
[식물도감] 장다리나물  (0) 2023.03.06
[식물도감] 장군대사초  (0) 2023.03.06
[식물도감] 장구채  (0) 202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