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잣나무

MinorMan 2023. 3. 6. 03:46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잣나무

영문명: Korean pine

과국명: 소나무과

과명: Pinaceae

속국명: 소나무속

속명: Pinus

비추천명: 홍송

정명학명: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이명학명: Pinus cembra Thunb. var. mandschurica (Rupr.) Carrière


<상세정보>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가을에 채취한 종자를 12월 중에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파종한 뒤 해가림을 해주고 파종상이 건조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분포정보

한국(경기,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일본(혼슈), 중국 동북부, 극동러시아


재배특성

조림: 잣나무는 보통 3년생 묘목을 심으며 심는 시기는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까지의 해빙 바로 다음이 좋다. 보통 정보당 3,000본을 심는데, 이 때 묘목사이의 거리는 1.8m가 된다. 심기 전에 잡관목과 잡초를 일제히 제거한 후 묘목을 심는다. 심기 전해의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사이에 헥사지논 또는 테트라피온을 정보당 50㎏씩 뿌려주면 잡관목과 잡초가 모두 말라죽게 되므로 땅고르기 작업이 쉽고 또 3년간 풀베기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풀베기: 나무를 심은 후 3년간은 잡관목 및 잡초가 무성한 6월과 8월의 두번씩 풀베기작업을 해주고 다음 2년간은 1년에 한번씩 해준다. 경사가 급하지 않고 물이 가까이 있는 곳은 심은 나무를 비닐봉투로 씌우고 글라신액제 100배액을 분무기로 뿌려주면 3년간 풀베기를 하지 않아도 된다.
▶잡목 솎아베기: 제초제로 땅고르기나 풀베기 작업을 한 곳은 잡관목이 거의 없으나 낫으로 풀베기한 곳은 3-4년이 지나면 잡관목이 무성하여 심은 나무가 잘 자라지 못하므로 잡목솎아베기를 해준다.
▶가지치기: 잡목솎아베기할 때부터 시작하는 데 최후까지 남겨둘 좋은 나무만 골라서 정보당 1,000-1.200본만 해주는 것이 경제적이다.
▶간벌: 나무를 심은지 18-20년이 되면 가슴높이 직경이 6-8㎝쯤 되는데 이때부터 간벌을 시작한다. 보통 심은지 20, 25, 30년등 3회에 걸쳐 하며, 15년생 미만의 임지에서도 나무가 너무 빽빽할 경우에는 이열을 남기고 1열을 베어주는 열식으로 간벌을 해주는 것이 좋다.


노트

잣나무는 5엽송을 가지고 유관속은 1개인 특징으로 소나무속 내 2엽송 및 3엽송 종들과 구분된다(Yang et al., 2012). 또한 교목이며, 구과의 실편이 뒤로 젖혀지고, 종자에 날개가 없는 특징으로 근연분류군인 눈잣나무(P. pumila), 섬잣나무(P. parviflora) 등과 뚜렷이 구분된다.


원산지

한국


형태

상록교목이며, 높이 30m, 지름 1m 정도로 자란다. 수피는 암갈색이고, 불규칙하게 떨어진다. 잎은 바늘형이며, 5개씩 모여 나고, 3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56.5~134.7mm, 너비 0.7~1.5mm이다. 향축면 양쪽에 기공선이 5~6줄 분포하며,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 모양이 드물게 발달한다. 구화수는 5월에 달리고, 암수한그루, 웅성구화수는 타원형이며, 황색이고, 새가지 밑에 달리며, 길이 5.0~13.5mm이다. 자성구화수는 타원형이고, 연한 홍자색이며, 새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7.3~20.0mm이다. 구과는 원통상 난형이며, 길이 53.8~96.6(150)mm, 너비 34.7~53.6(80)mm이다. 실편은 끝이 길게 자라서 뒤로 젖혀지지만 완전히 벌어지지 않아 종자가 떨어지지 않고, 실편의 길이 15.2~23.0mm, 너비 12.3~19.3mm이다. 종자는 삼각형이며, 날개가 없고, 양면에 얇은 막이 있으며, 길이 11.5~14.6(18)mm, 너비 7.5~10.8mm이다. 결실기는 다음해 10월이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장구채  (0) 2023.03.06
[식물도감] 장구밥나무  (0) 2023.03.06
[식물도감] 잠자리피  (0) 2023.03.06
[식물도감] 잠자리난초  (0) 202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