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작두콩

MinorMan 2023. 3. 5. 09:27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작두콩

과국명: 콩과

과명: Fabaceae

속국명: 해녀콩속

속명: Canavalia

정명학명: Canavalia ensiformis DC.

이명학명: Dolichos incurvus Thunb.


<상세정보>

분포정보

중부이남에 식재.


꽃설명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자라 끝이 활같이 굽으면서 10여개의 꽃이 수상으로 달리며 꽃차례는 길이 7cm이고 꽃은 8월에 피며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고 접형화로서 극히 짧은 꽃자루가 있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2개로 갈라지고 기꽃잎은 둥글며 접혀지고 10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설명

열매는 협과로 길이 30cm, 폭 5cm로서 뒷등이 편평하며 작두 같고 10-14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편평하며 홍색 또는 백색이고 선상의 종부와 길이가 거의 같다.


잎설명

잎은 3출엽으로서 원줄기와 더불어 털이 없고 소엽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엽병이 짧다.


원산지

구대륙 열대 원산으로, 중부 이남에 재배.


형태

덩굴성 한해살이풀.


사용법

▶어린 협과를 식용으로 한다.

▶종자는 刀豆(도두), 果殼(과각)은 刀豆殼(도두각), 근(根)은 刀豆根(도두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刀豆(도두)

①가을에 종자가 익은 과실을 따서 햇볕에 말려 종자만 꺼낸다. 또는 먼저 종자를 까서 말린다. 사용할 때는 빻아 쓴다.

②성분 : 작두콩에는 urease, 血球凝集素(혈구응집소), canavanine이 함유되어 있고 幼豆(유두)에서는 canavaliagibberellinⅠ 및 Ⅱ가 분리되고 기타 성분으로는 전분, 단백질, 지방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도 canavani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溫中(온중), 下氣(하기), 益腎補元(익신보원)의 효능이 있다. 虛寒(허한)으로 인한 逆(애역), 구토, 腹脹(복창), 腎虛腰痛(신허요통), 痰喘(담천)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粉末(분말)하여 복용한다.

⑵刀豆殼(도두각)

①가을철에 과실이 익으면 과실을 까 낸 果殼(과각)을 햇볕에 완전히 건조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충해를 받지 않도록 잘 저장한다.

②약효 : 和中(화중), 下氣(하기), 散瘀(산어), 活血(활혈)의 효능이 있다. 反胃(반위), 逆(애역), 慢性下痢(만성하리), 閉經(폐경), 喉痺(후비-喉頭結核(후두결핵), 喉頭梅毒類(후두매독류)), 喉癬(후선)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燒存性(소존성)으로 粉末(분말)하여 살포한다.

⑶刀豆根(도두근)

①약효 : 頭風(두풍), 류머티즘에 의한 腰,脊椎痛(요, 척추통), 疝氣(산기), 장기(長期)의 下痢(하리), 閉經(폐경), 타박상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작약  (0) 2023.03.06
[식물도감] 작살나무  (0) 2023.03.05
[식물도감] 자주황기  (0) 2023.03.05
[식물도감] 자주풀솜나물  (0) 2023.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