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자목련
과국명: 목련과
과명: Magnoliaceae
속국명: 목련속
속명: Magnolia
비추천명: 자주목련
정명학명: Magnolia liliiflora Desr.
이명학명: Yulania japonica var. purpurea Spach
<상세정보>
가지
뿌리 근처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번식방법
▶실생 및 특수 삽목으로 번식한다.
①실생 : 목련류의 종자는 가을에 성숙한 것을 따서 곧 뿌리든지, 노천매장을 4-5℃ 되는 곳에 3-6개월간 한 후에 봄에 파종한다. 종자를 건조시키는 것은 발아에 크게 유해하다.
②접목 : 접목으로도 번식이 가능하다. 우리 나라의 목련류 중 가장 좋은 대목은 목련이며 태산목을 실생 또는 삽목으로 증식하여 태산목의 변종에 대한 대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접목방법은 복접(腹接), 기접(奇接), 근접(根接)이며, 취목도 이용할 수 있다.
분포정보
중국; 전국 식재.
꽃설명
양성꽃이며 4 ~ 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진한 보라색이며 종모양이다. 꽃받침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3cm × 7 ~ 8mm로, 기부가 뒤로 젖혀지고 윗부분이 안으로 꼬부라지며, 꽃잎은 6개이고 겉은 짙은 자주색이며 안쪽은 연한 자주색으로 길이와 폭이 각 10cm × 3 ~ 4cm이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열매설명
열매는 골돌로 길이 5 ~ 7㎝이며 난상 타원형이고 갈색이고 종자는 백색 실 같은 씨자루에 매달려 나오고 10월에 성숙한다.
생육환경설명
▶충분한 햇빛을 받아야 개화와 결실이 잘되며 내한성이 약해서 중부 내륙에서는 살지 못한다.
▶비옥적윤한 사질양토를 좋아하고 내염성이 약하나 공해에 견디는 힘은 보통이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거꿀달걀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8 ~ 18cm × 4 ~ 11cm로, 턱잎은 가지를 한바퀴 둘러싼다.
원산지
중국 원산.
형태
낙엽 활엽 교목.
유사식물설명
▶일본목련(M. obovata)
▶목련(M. kobus)
특징
경남 범어사에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가 현존하고 있다.
크기설명
높이 15m.
사용법
▶이른 봄에 피는 진한 자주색 꽃은 모양이나 색채가 연꽃과 비슷해서 불교적 분위기를 풍겨,주로 사찰 주변에 많이 심고 있으며 정원이나 공원에도 식재하고 있다.
▶꽃봉오리는 辛夷(신이), 花(화)는 玉蘭花(옥란화)라 하며 약용한다.
⑴辛夷(신이)
①이른 봄에 未開(미개)한 화뢰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건조한다.
②성분 : 백목련의 봉오리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 속에는 citral, eugenol, 1,8,-cineol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magnoflorine이 함유되어 있고 잎과 과실에는 peonidin의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風(거풍), 通竅(통규)의 효능이 있다. 두통, 鼻淵(비연-악성 비점막궤양, 축농증), 鼻塞(비새), 치통을 치료한다. 芳香藥(방향약)으로서 쓴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한다.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하여 코에 넣거나 물에 담가서 증류한 액즙을 코 안에 點滴(점적)한다.
⑵玉蘭花(옥란화) - 消痰(소담), 益肺和氣(익폐화기)의 효능이 있다. 蜜(밀)에 재웠다가 복용하면 더욱 효과가 있다. 월경 전의 복통과 불임치료에는 개화되기 시작하는 옥란화를 나이 1세에 1개 꼴로 매일 식전에 달여 복용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자병취 (0) | 2023.03.04 |
---|---|
[식물도감] 자반풀 (0) | 2023.03.04 |
[식물도감] 자리공 (0) | 2023.03.04 |
[식물도감] 자루나도고사리삼 (0) | 2023.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