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일본잎갈나무

MinorMan 2023. 3. 3. 06:51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일본잎갈나무

영문명: Japanese larch

과국명: 소나무과

과명: Pinaceae

속국명: 잎갈나무속

속명: Larix

비추천명: 낙엽송

정명학명: 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이명학명: Larix kaempferi (Lamb.) Sarg.


<상세정보>

방제방법

①낙엽송잎떨림병: 방제법으로는 5월 중순에서 7월 하순사이에 만코지 수화제 600배액을 2주간격으로 수회 살포하며, 10-11월에 병든 낙엽을 태우거나 땅에 묻어 주어야 한다.

②낙엽송가지끝마름병: 방제법으로는 6-9월 사이에 포리옥신 수화제 또는 베노밀수화제를 수회 살포한다. 또 바람이 많은 곳에 피해가 심하므로 바람이 심한 곳에는 조림을 피하고 숲가에는 넓은잎나무로 방풍림을 조성해 주는 것이 좋다.

▶독나방 : 유충가해기인 4-5월과 8-10월에 디프 4%분제 또는 80%수용제 1,000배액을 살포한다. 성충부화기인 6-7월에 등화 살포한다.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9월 하순에 종자를 채취하여 기건밀봉저장한 후,파종하기 1개월 전에 노천매장하였다가 사용한다.

ⓑ순량율 90%, ℓ당 입수 98,798립, 발아율 40%이다.

ⓒ파종상을 너무 습하게 하거나 건조시키면 발아율이 떨어지게 된다.

ⓓ해가림을 해주는 것이 좋다.


병충해정보

▶병해

①낙엽송잎떨림병: 7월부터 잎에 작은 반점이 생기고 반점주변이 황록색으로 변하여, 이것이 심하면 수관의 밑부분에서부터 적갈색으로 변한다. 8월 하순이 되면 낙엽이 시작되어 미풍에도 우수수 잎이 떨어진다.

②낙엽송가지끝마름병: 당년에 새순 끝이 낚시바늘모양으로 굽으면 끝에 말라 죽은 잎이 달려 있다.

③잎마름병

▶충해:독나방, 솔나방, 진딧물.


분포정보

전국에 식재


재배특성

▶조림: 햇볕을 많이 요구하는 수종이므로 타수종에 비하여 비교적 듬성듬성 심는데 정보당 2년생 묘목을 보통 2,000-3,000본을 심는다.

▶풀베기: 어릴때 자람이 빠르므로 3년간 풀베기를 해주고 보통 6월 하순부터 8월에 걸쳐 실행하는데 낙엽송의 자람이 왕성한 7월중에 작업을 끝내는 것이 좋다.

▶잡목솎아베기: 풀베기가 끝난뒤 3-4년이 지나면 그루터기가 남아있던 잡관목이 무성하게 자라서 낙엽송의 자람을 억압하게 되므로 잡목솎아베기를 해 주어야 한다. 잡목솎아베기와 아울러 낙엽송이 너무 베게 자라고 있는 곳은 낙엽송중의 불량목과 자람이 느린 나무도 함께 솎아베어 주어야 한다.

▶가지치기: 밑에 가지가 빨리 말라죽고 마른가지는 저절로 잘 떨어지는 수종이므로 가지치기를 하지 않아도 된다.

▶시비: 인산질비료의 요구가 크며 조림지에서는 양분결핍 현상이 뚜렷이 나타난다. 연속적 시비를 하고 잡목솎아베기 또는 간벌후에 해주는 것이 좋다.

▶간벌: 10-15년이 되면 1차간벌을 해주고 이후 5-10년 간격으로 2-3회 간벌을 해준다. 10년생 어린나무들이 너무 빽빽한 곳은 열식간벌을 해주어야 한다.


꽃설명

개화기는 4~5월, 암수한그루, 수꽃은 구형이며, 황갈색이고, 많은 포린으로 구성되며, 각 포린에는 2개의 꽃밥이 있고, 짧은 가지에서 아래를 향해 달리며, 길이는 4.1~6.1mm이다. 암꽃은 타원형이고, 연한 홍색을 띠며, 각 실편에 2개의 밑씨가 있고, 잎이 달리는 짧은 가지 끝에서 위를 향해 달리며, 길이는 22.9~26.9mm이다.


열매설명

난상 원형이고, 위를 향해 달리며, 길이는 (15)27.5~34.4mm, 너비는 18.6~25.1mm이다. 실편은 50~60개이고, 난상 원형이며, 절두 또는 미요두이고, 끝이 뒤로 젖혀지며, 실편의 길이는 6.5~11.9mm, 너비는 6.6~10.9mm이다. 포는 넓은 피침형이고, 예두이다. 종자는 삼각형이며, 길이는 3.1~4.5mm, 너비는 2.2~2.8mm이고, 종자날개의 길이는 8.3~10.4mm, 너비는 4.3~5.2mm이다. 결실기는 9월이다.


생육환경설명

볕이 잘 드는 산지


잎설명

선형이며, 밝은 녹색이고, 길이 11.7~34.6mm, 너비는 0.5~0.9(1.2)mm이다. 긴 가지에서는 1개씩 나지만 짧은 가지에는 20~30개씩 모여난다. 잎의 횡단면은 양쪽으로 퍼진 타원형이며, 중앙부가 향축면과 배축면으로 약간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하피는 후벽세포로 발달한다. 중앙에 1개의 유관속이 있으며, 수지구는 잎의 양쪽 선단에 작게 한 개씩 모두 2개가 발달한다. 기공은 배축면에 5개의 기공선으로 발달하고, 향축면에도 약간의 기공이 존재하지만 빈도는 매우 드물다.


원산지

일본 중부지방 원산


수피

암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며, 긴 인편으로 되어 떨어진다. 잔가지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고, 털이 있거나 없다.


형태

낙엽 교목이며, 높이 20~30m, 지름 1m 정도이다.


유사식물설명

▶잎갈나무(L.gmelini var.principis-ruprechtii (Mayr) Pilger): 실편의 끝이 뒤로 젖혀지지 않고 실편이 25-40개인 것을 잎갈나무라 한다.


특징

잎갈나무와 비교하여 구과의 실편이 뒤로 뒤집히며, 국내 전국의 산림 저지대에 주로 식재한다.


크기설명

높이가 30m, 지름 1m이다.


사용법

▶주요 조림수종 : 용재수종

▶목재는 단단하여 힘받이 구조재, 가설재, 비계목 등의 건축재로 많이 쓰이고 이 밖에 선박, 갱목, 전주, 합판 농업용구 및 펄프용으로 쓰인다.

▶나무껍질에서는 염색제 및 타닌을 채취한다. 수지에서 테르핀유를 채취한다.

▶환경임업적인 면에서 볼 때 숲 가장자리에 심으면 봄의 푸르름과 가을의 단풍이 엮어 내는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게 된다.


목재설명

춘재와 추재의 이행은 매우 급진적이며, 연륜계가 분명하다. 수직수지구가 발달한다. 유연벽공은 1~2열이고, 방사조직은 1~40세포 높이이나 평균적으로 10세포 높이이며, 방추형 방사조직이 발달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일본전나무  (0) 2023.03.04
[식물도감] 동아좀개구리밥  (0) 2023.03.03
[식물도감] 일본유동  (0) 2023.03.03
[식물도감] 일본사초  (0) 2023.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