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감/식물도감

[식물도감] 유동

MinorMan 2023. 3. 1. 02:58
반응형

<목록정보>

국명: 유동

영문명: Chinese wood-oil-tree

과국명: 대극과

과명: Euphorbiaceae

속국명: 유동속

속명: Vernicia

정명학명: Vernicia fordii (Hemsl.) Airy Shaw

이명학명: Aleurites fordii Hemsl.


<상세정보>

번식방법

실생으로 번식한다.


분포정보

남부 지방에 식재.


꽃설명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며 붉은빛이 도는 백색이고 가지 끝의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며 수꽃은 10개의 수술이 2줄로 배열되고 암꽃은 씨방과 2개로 갈라진 3개의 암술대 및 퇴화된 수술이 있다.


열매설명

열매는 삭과로 구형이며 지름 3-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9월에 익으며 3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종자는 독이 있으며 종자에서 짜낸 기름을 동유(桐油)라고 한다.


생육환경설명

本 屬(본속)중에서 가장 내한성이 강하다.


잎설명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심장형 또는 원형이며 점첨두 심장저이고 길이 7-20cm로서 처음에는 양면에 황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맥 위에만 남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밑에 대가 없는 2개의 꿀샘이 있다.


원산지

중국 원산.


형태

낙엽 교목.


유사식물설명

▶일본유동(A.cordata MUELL.-ARG.): 엽병 끝에 대가 있고 열매가 편구형이며 지름 2-2.5cm이다.


줄기설명

열매는 삭과로 구형이며 지름 3-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9월에 익으며 3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종자는 독이 있으며 종자에서 짜낸 기름을 동유(桐油)라고 한다.


크기설명

높이 10m 정도 자란다.


사용법

▶정원수나 유지용으로 이용한다.

▶종자는 油桐子(유동자), 根(근)은 油桐根(유동근), 葉(엽)은 油桐葉(유동엽), 花(화)는 桐子花(동자화), 未成熟果(미성숙과)는 氣桐子(기동자), 種子油(종자유)는 桐油(동유)라 하며 약용한다.

⑴油桐子(유동자) - ①가을에 성숙한 과실을 따서 외피를 부식시켜 제거한 후 종자만을 햇볕에 건조시킨다. ②약효 : 吐瀉風痰(토사풍담), 消腫毒(소종독), 利二便(이이변)의 효능이 있다. 風痰喉痺(풍담후비-喉頭結核(후두결핵), 喉頭梅毒(후두매독) 등), 나력, 疥癬(개선), 화상, 膿疱瘡(농포창), 丹毒(단독), 食積腹脹(식적복창), 大小便不通(대소변불통)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2개를 돼지의 정육과 같이 달여 복용하거나 1-2개를 물로 갈아 으겨서 물을 부어 마신다.

⑵油桐根(유동근) - ①9-10월에 채취하여 生用(생용)하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消食(소식), 利水(이수), 化痰(화담), 살충의 효능이 있다. 식적비만, 水腫(수종), 哮喘(효천), (나력), 회충증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2-18g(생것 30-60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粉末(분말)을 精肉(정육)과 같이 삶아서 먹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姙婦(임부)는 주의해야 한다. 양이 많으면 구토증을 일으킨다.

⑶油桐葉(유동엽) - ①약효 :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癰腫(옹종), 丹毒(단독), 겸창, 凍瘡(동창), 疥癬(개선), 화상, 이질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燒存性(소존성)을 粉末(분말)하여 뿌린다.

⑷桐子花(동자화) - ①약효 : 禿髮瘡(독발창), 熱毒瘡(열독창), 天泡瘡(천포창), 화상 등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기름에 담갔다가 기름을 환부에 바른다. 또 진하게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⑸氣桐子(기동자) - 유동의 익지 않은 과실로, 疝氣(산기), 積滯(적체), 부인의 月經病(월경병)을 치료한다. 1-3개를 달여서 복용한다.

⑹桐油(동유) - 風痰(풍담)을 吐(토)하게 하고 외용으로는 疥癬(개선), (겸창-下腿潰瘍(하퇴궤양)), 화상, 凍瘡(동창), 군열 등을 치료한다. <외용> 조합하여 붙이거나 바르거나 또는 吐(토)하게 한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유럽나도냉이  (0) 2023.03.01
[식물도감] 유럽개미자리  (0) 2023.03.01
[식물도감] 유가래나무  (0) 2023.03.01
[식물도감] 위성류  (0) 2023.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