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
국명: 우산나물
영문명: Palmate shredded umbrella plant
과국명: 국화과
과명: Asteraceae
속국명: 우산나물속
속명: Syneilesis
비추천명: 대청우산나물,삿갓나물,섬우산나물
정명학명: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이명학명: Arnica palmata Thunb.
<상세정보>
번식방법
▶실생과 분주로 번식시킨다.
①실생: 가을에 씨가 익으면 따서 직파한다. 다음해 4월 초순경이면 싹이 튼다.
②분주 : 3~4월에 싹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가 포기나누기의 적기다. 포기를 캐내어 싹을 1개씩 붙여서 쪼개어 정식한다.
분포정보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의 야산에서부터 표고 1.000m씩 되는 고산지대까지 수림밑의 반그늘진 습한 곳에 군락을 이루며 자생한다.
꽃설명
꽃은 6-9월에 피며 지름 8-10mm로서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루며 화경은 길이 3-10mm로서 털이 있으며 포는 길이 1.5-3mm로서 피침형이다. 총포는 원통형이고 길이 9-10(때로는 7)mm이며 포편은 5개, 낱꽃은 7-13개이며 꽃부리는 길이 9-10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설명
수과는 원통형이이며 길이 4.5-6mm, 나비 .2-1.5mm로서 양끝이 좁고 관모는 오백색汚白色이다.
생육환경설명
▶낙엽수림 밑이나 북향의 경사지가 이상적이다. 습기있는 땅을 좋아하지만 물이 고이는 곳에서는 썩기 쉽고 겨울에는 얼기 쉬우므로 피한다.
▶토양은 보습이 높고 비옥한 토양이 좋으며 일반적으로 그늘상태에서 잘 자라나 강한 광선에서도 재배성적이 높게 나타난다.
잎설명
첫째 잎은 둥글고 7-9개 장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지름 35-40(때로는 50정도)cm이고 열편은 흔히 2회 2개씩 갈라지며 호열편은 나비 2-3cm로서 끝이 뾰족하고 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둘째 잎은 작으며 엽병도 짧고 열편이 5개 정도이다.
원산지
한국
뿌리설명
지하부에 짧은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유사식물설명
▶애기우산나물(S. aconitifolia)
특징
우산나물 또는 `삿갓나물`이라고도 하며 옛날부터 즐겨 이용된 향기로운 산나물의 하나다. 새순이 올라와서 잎이 채 벌어지기 전의 모양이 우산을 펼친 모양 같기도 하고 삿갓모양 같기도 해서 얻은 이름들이다. 우산나물에는 참나물처럼 향긋하면서 독특한 향기가 있는 것이 특색이다.
줄기설명
높이가 70-120cm에 달하고 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분백이 돌고 가지가 없으며 2개 간혹 3개의 잎이 달린다.
크기설명
높이 70~120m
사용법
▶관상가치가 높으며, 얕은 분재화분에 심어 초물분재로 감상하면 좋고 다양한 장소의 지피식물은 물론 암석원 등에 재배해도 잘 어울린다.
▶4~5월경에 채취한 어린싹을 식용으로 한다.
▶애기우산나물/우산나물의 根 또는 全草를 (토아산)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 채취하여 泥土(이토)를 완저히 털어내고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祛風(거풍), 除濕(제습), 해독, 活血(활혈),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風濕痲痺(풍습마비), 關節疼痛(관절동통), 癰疽瘡腫(옹저창종), 타박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또는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16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식물자원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https://kna.forest.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감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도감] 우산물통이 (0) | 2023.02.28 |
---|---|
[식물도감] 우산마가목 (0) | 2023.02.28 |
[식물도감] 우묵사스레피 (0) | 2023.02.28 |
[식물도감] 우드풀 (0) | 2023.02.28 |